여야 ‘盧-金 대화록’ 검색 키워드 10개 내외 제시

입력 2013-07-05 18:59 수정 2013-07-05 22:37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5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자료 제출과 관련해 국가기록원에 자료를 검색할 10개 내외의 키워드(핵심 단어)를 제시했다.

국가기록원은 노 전 대통령 재임 시 만들어진 대통령 기록물 755만건 중 웹 문서를 제외하고 검색이 가능한 문건이 256만건으로 집계됐다고 4일 국회에 보고했다. 기록원은 256만건 중 여야가 제시한 키워드로 검색되는 자료를 추려 15일쯤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새누리당 윤상현, 민주당 정성호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실무협의를 갖고 국가기록원에 제시할 키워드를 논의했다. 양당은 노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간 서해 북방한계선(NLL) 관련 대화의 진상을 파악하기 위해 자료 제출을 요구한 취지에 맞게 ‘남북정상회담’ ‘NLL’ ‘북방한계선’ ‘서해평화지대’ ‘공동어로수역’ ‘북핵’ ‘주한미군’ ‘포기’ 등 10개 내외 키워드를 선정해 국가기록원에 보냈다.

이에 따라 국가기록원은 남북정상회담이 결정된 2007년 8월 8일부터 노 전 대통령 임기가 만료된 2008년 2월 24일까지의 대통령기록물 가운데 키워드가 포함된 자료를 검색하게 된다. 특히 자료를 만든 기관이 청와대·국가정보원·통일부 등으로 구분돼 있어 국정원이 이미 공개한 대화록이 왜곡됐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기록원이 국회에 보고한 노 전 대통령 관련 기록물 현황에 따르면 검색이 가능한 256만건 중 지정기록물은 34만건, 비밀기록물은 1만건, 일반기록물은 221만건이다. 지정기록물은 보안 수준이 가장 높아 국회 재적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 등이 필요하며, 비밀기록물은 차기 대통령·국무총리와 같은 인가권자가, 일반기록물은 누구나 열람할 수 있다. 기록원 관계자는 “대통령기록관 직원 중 일부만 해당 기록물을 다룰 수 있기 때문에 인원이 제한돼 15일쯤에야 열람을 위한 준비작업을 끝내고 국회에 제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256만건 중 ‘남북정상회담’ ‘북방한계선’ 등의 키워드를 넣어 검색해 열람 대상 기록물을 추려낸 뒤 문서나 음성 파일의 사본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일이 걸린다”고 설명했다.

여야는 자료가 제출되는 대로 국회 운영위원회를 열어 열람 인원과 기간, 공개 방식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부분 열람·제한 공개’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민주당은 국회 운영위원들을 중심으로 열람소위를 구성할 것과 국가기록원에서 키워드로 문서 리스트를 검색한 뒤 필요한 자료만 요청해 사본을 제출받는 방식을 제안했다.

민주당 홍익표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불필요한 부분까지 공개해서 남북관계나 국익에 어려움을 자초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아 최소한으로 공개할 것”이라며 “열람 주체는 양당 교섭단체의 원내대표와 수석부대표 등 5명씩 총 10명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김재중 임성수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