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개 국립공원 33곳 산사태에 취약… 9곳은 ‘위험 1등급’

입력 2013-07-05 18:39 수정 2013-07-05 22:25


여름장마가 본격화하면서 전국적으로 많은 비가 내리고 있는데도 국립공원 곳곳에 산사태나 추락사 위험이 높은 급경사지 등이 방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 예·경보시설도 아직 부족해 공원을 찾는 탐방객들의 주의가 각별히 필요한 상황이다.

5일 환경부에 따르면 전국 20개 국립공원 중 12개 국립공원 33곳이 산사태 취약지역으로 판명됐다. 지리산 남부 2곳, 설악산 4곳, 북한산 2곳, 북한산국립공원 내 도봉산 지역 1곳 등 모두 9곳은 위험 등급 1등급(매우 높음)을 받아 산사태 위험이 매우 큰 것으로 조사됐다. 신라시대 문화재가 밀집한 경주 국립공원을 비롯해 설악산 4곳, 속리산 1곳, 주왕산 2곳, 치악산 1곳, 한려해상 국립공원 4곳 등은 2등급(높음)으로 역시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일부 위험지역은 인근 마을과 인접해 있어 산사태가 일어날 경우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도 있다.

비가 오면 낙석 위험이 큰 급경사지 관리대상 지역은 17개 국립공원 153곳에서 발견됐다. 그중 거친 절벽이나 암반이 많은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서부지역 1곳과 산세가 험한 소백산 3곳 등 4곳은 사고 위험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2010년부터 올 7월 현재까지 국립공원에서 추락사 또는 자연재해 등으로 숨진 사람은 77명에 달한다. 골절이나 상처 등 다친 사람도 917명이나 된다.

상황이 이렇지만 재난 예·경보시설 설치가 완벽하게 갖춰지지 않은 곳이 여전히 많다. 비가 많이 오면 조기에 경보를 발령해 탐방객들의 사전 대피를 유도하는 자동우량 경보시설은 전국 20개 국립공원 중 지리산 설악산 속리산 덕유산 월악산 치악산 등 12개 국립공원 내 일부 지역에만 설치돼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날 여름철 풍수해 대비 재난안전 대책을 발표하고 인명피해 우려 지역 218곳을 특별관리 대상 지역으로 지정, 안전요원과 구조장비를 집중 배치하고 기상특보 발령 시 입산을 통제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재난안전대책 상황실 29개를 운영키로 했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기상특보가 발령되면 출입금지 지역은 절대 들어가지 않는 등 국립공원의 통제에 적극적으로 협조해 달라”고 말했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