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실무접촉] 회담장소 놓고 기싸움…북, 10시간만에 수용

입력 2013-07-05 01:50

남북이 합의한 개성공단 실무회담 6일 판문점 개최는 지난달 무산된 남북당국회담 진행과정과 상당부분 유사점이 있다.

당국회담 전날인 지난달 11일 수석대표 ‘급(級)’을 놓고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했던 남북한이 이번엔 ‘회담 장소’를 놓고 팽팽한 기싸움을 벌였다. 정부는 4일 오전 개성공단 실무회담을 6일 개최하자고 제의하면서 회담 장소로 판문점의 북측 통일각 또는 우리 측 평화의 집을 제시했다. 하지만 북측은 오후 들어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로 역제안했다. 이에 우리 정부는 판문점 외에 경의선 우리 측 출입사무소를 추가해 제의하며 맞불을 놓았다. 결국 북측이 남측이 애초에 제안한 판문점을 수용하며 양측의 실랑이는 일단락됐다.

앞서 당국회담은 급 문제로 신경전을 벌이다 회담이 열리지 못했다. 우리 정부는 줄기차게 김양건 통일전선부장과 같은 급이 회담 수석대표로 나올 것을 요구했지만 북측은 이를 끝까지 받아들이지 않았다. 기싸움은 여전했지만 주제는 다른 셈이다.

판문점 연락채널 재개도 비슷하다. 북측은 당시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대변인 특별담화문을 통해 당국회담을 제안하며 동시에 끊어진 판문점 연락채널을 복원시켰다. 북측은 이번에도 먼저 개성공단 기업인·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의 방북을 허용한다고 발표하며 판문점 연락채널을 재가동했다.

차이점도 발견된다. 먼저 ‘당국회담’과 ‘실무회담’이라는 명칭에서 보이듯 이번 회담은 실무적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의제도 상당부분 축소됐다. 당국회담은 개성공단 문제, 금강산 관광 재개, 이산가족 상봉, 6·15 공동선언 및 7·4 공동성명 공동 행사, 5·24조치 해제 등 남북관계 현안이 망라됐다. 하지만 실무회담에선 개성공단 문제로 의제가 국한됐다.

서로 연락을 주고받은 과정도 다르다. 당국회담에선 서로 언론 매체를 통한 담화·성명 방식으로 소통이 이뤄졌다. 하지만 이번 실무회담에선 판문점 연락관을 통한 통지문 교환과 판문점 연락채널로 합의가 이뤄졌다. 조선중앙통신 등 북측 매체에서 실무회담에 대해 전혀 언급이 없다는 점도 눈에 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