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 감도는 신장·티베트… 소수민족 정책 고민

입력 2013-07-04 18:10

중국 당국이 2009년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발생한 ‘7·5 유혈사태’ 4주년을 맞아 이 지역에서 삼엄한 경계를 펴는 등 초긴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 새 지도부는 새로운 국가적 어젠다를 추진하기 위해 애쓰고 있지만 이처럼 소수민족 문제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3일 이를 두고 “중국 지도부는 신장과 티베트라는 ‘더블 트러블(두 가지 곤경)’에 직면하고 있다”는 분석 기사를 썼다.

신장과 시짱 자치구(티베트)는 자원이 풍부한 데다 전략적으로 중요한 중국 서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더욱이 두 자치구의 면적은 중국 전체 면적의 3분의 1에 해당할 만큼 광활하다. FT는 그렇지만 이 두 곳에서 민족 문제로 인한 사회불안이 그치지 않는다는 점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지난주에는 신장에서 3일간 두 차례 소요사태가 발생해 35명이 숨진 것으로 알려졌다. 더욱이 이러한 사태는 앞으로 더욱 빈번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중국 당국은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다.

티베트에서는 젊은이와 여성 등 분신자들이 줄을 이어 2011년 이래 적어도 100명 이상이 자신의 몸에 불을 질렀다고 FT는 전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중국 당국의 억압적인 정책에 항거하기 위해서다. 2주일 전에는 쓰촨(四川)성에서 여승 한 명이 분신했다.

FT는 중국 지도부가 신장과 티베트 문제를 각각 서로 다른 이슈로 본다고 진단했다. 신장은 치안 문제로, 티베트는 정치적 문제로 간주한다는 것이다.

즉 중국 지도부는 신장에서는 이곳에 이주한 한족을 보호하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티베트에서는 이주 정책으로 티베트인을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정치적인 접근을 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신장에서는 당국이 한족을 이곳으로 대거 이주시킴에 따라 위구르족의 위상이 크게 낮아졌다. 위구르족은 재력이 훨씬 풍부하고 교육도 많이 받은 한족과 경쟁하는 과정에서 농토나 취업 등을 놓고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는 형편이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