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맹이 빠진 서비스산업 대책… 창조경제 외치면서 ‘창조’ 외면

입력 2013-07-04 18:04 수정 2013-07-04 22:21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서비스산업에 ‘창조’가 없다. 정부가 4일 야심 차게 내놓은 서비스산업 대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사이의 차별을 없애는 수준에서 손쉬운 선택 위주로 만들어졌다. 의료·법률·교육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업 규제를 풀어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알맹이’는 쏙 빠졌다.

◇서비스업 차별 해소에 주력=정부는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서비스산업의 인프라 강화,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차별 해소를 골자로 하는 ‘서비스산업 정책 추진방향 및 1단계 대책’을 내놨다. 정부는 초점을 ‘차별 해소’에 맞췄다. 서비스업은 지난해 기준 전체 취업자 가운데 비중이 70%에 이를 정도로 고용창출 효과가 크지만 제조업에 비해 홀대받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중소기업 특별세액감면 대상에 문화·스포츠·레저 등 서비스 업종을 포함시키고, 서비스수출에 상품수출과 동등하게 금융지원 혜택을 주기로 했다.

레저 분야를 육성하려는 노력도 담았다. 그동안 취사가 불가능했던 도시공원 내 바비큐 시설이 허용된다. 다만 한강 둔치 등 하천변은 하천법 적용을 받는 공간이기 때문에 바비큐 시설이 허용되지 않는다. ◇알맹이 빠져 ‘창조’가 안 보인다=이번 대책은 ‘안전운전’이라는 악평을 피하기 어렵다.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원격진료, 병원·법무법인(로펌) 설립 규제 완화, 전문자격사 간 동업 허용 등 핵심내용이 대부분 빠졌기 때문이다. ‘이색’은 있지만 ‘창조적 파괴’를 통해 서비스산업을 육성하려는 정부 의지는 실종됐다.

문제는 무난한 대책만으로는 서비스산업의 낮은 생산성을 극복하기 어렵다는 데 있다. 제조업의 2011년 기준 1인당 노동생산성이 8510만원인 반면 서비스업은 3860만원에 불과하다.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은 의료민영화를 위한 포석이라는 정치권의 반발 때문에 국회에서 논의되지 못하고 있다. 정부는 향후 관광, 사회서비스 등 고부가가치 분야 발전방안을 발표할 계획이지만 서비스산업의 발전방향을 제시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세종=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