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논쟁 확실하게 종식” 野 “사전 유출·악용 밝혀야”

입력 2013-07-03 20:22 수정 2013-07-03 22:31


여야가 압도적인 찬성으로 2007년 남북정상회담 관련 자료 제출요구안을 처리했지만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 진위에 대한 동상이몽 속에 치열한 공방을 이어갔다. 새누리당 소속 서상기 국회 정보위원장은 국가기록원에 보관중인 대화록 등 관련자료 열람·공개가 원활히 이뤄지지 않으면 국가정보원에 있는 음성파일 공개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회는 전날 본회의에서 의결한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 대화록·녹음기록물 등 국가기록원 보관 자료 제출요구안을 3일 국가기록원에 공식 송부했다. 국가기록원장은 자료제출 요구안이 도착한 날로부터 10일 이내에 응하게 돼 있어 늦어도 15일까지는 자료를 송부해야 한다. 자료가 송부돼 오면 여야는 국회 운영위원회를 열어 자료 열람 인원과 시기, 공개 범위 등을 결정할 예정이다.

국가기록원 자료 열람 및 공개에 대한 여야의 기대와 전망은 확연히 다르다. 새누리당은 국가기록원의 대화록도 국정원이 공개한 전문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판단과 함께 녹음기록물까지 열람하면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취지 발언이 더욱 정확히 드러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국가기록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등 관련 자료를 국회에 제출하면 여야 협의를 통해 효과 있고 충실한 열람이 되도록 열람 시기와 인원을 결정하겠다”며 “공개 및 열람은 논쟁의 확산이 아니라 확실한 종식이 되도록 관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국가기록원 자료 열람 및 공개를 통해 지루하게 끌어온 ‘NLL 포기 발언’ 논란을 확실히 매듭짓겠다는 것이다. 같은 당 정문헌 의원도 “이미 국정원 전문에서 포기취지 발언이 드러난 만큼 국가기록원 자료에서도 다른 결과가 나오지는 않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반면 민주당은 국가기록원이 보관한 정상회담 대화록뿐 아니라 회담 사전준비 및 사후 조치와 관련한 회의록, 보고서 등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이 NLL을 포기할 의사가 전혀 없었다는 사실이 드러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그러면서 대화록이 대선 전에 여당에 유출돼 정략적으로 이용됐다며 공격의 고삐를 죄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기자간담회에서 “대화록뿐 아니라 방북 전에 사전준비, 다녀온 후 사후조치와 관련된 기록들을 면밀하게 열람하게 되면 진의는 쉽게 드러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한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2007년 (남북) 정상회담 대화록이 어떻게 정치권에 사전 유출됐고, 누구에 의해 왜곡됐으며, 어떻게 정략적으로 이용됐는지도 진실이 명명백백하게 국민 앞에 밝혀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와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회 운영위 소속 여야 의원 10여명은 6월 국회 회기 마지막 날인 2일 밤 여의도의 한 식당에서 새로운 여야 상생의 각오를 다진다는 차원에서 ‘폭탄주 러브샷’을 하며 만찬회동을 가졌다.

김재중 임성수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