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백 한달째… 靑 ‘정무수석 임명’ 안하나 못하나

입력 2013-07-03 20:03

청와대 정무수석이 한 달째 공석이지만 박근혜 대통령은 여전히 신임 수석을 임명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적임자를 찾지 못해 선뜻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관측이 유력하다.

정무수석 자리는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으로 이정현 당시 정무수석이 지난달 3일 홍보수석으로 수평이동한 뒤 31일째 공백상태다. 김선동 정무비서관이 정무수석을 대신해 관련 회의에 참석하고 여야 의원들과 만나는 것으로 전해진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3일 정무수석 인선에 대해 “대통령으로부터 특별한 말씀을 못 들었다”고 입을 모으지만, 중국 방문일정도 끝나 7월 초에는 임명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7월에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본 공개, 국가정보원 대선·정치개입 의혹 사건 국정조사 등 향후 국정의 향방을 결정할 굵직한 국회발(發) 이슈들이 진행되고 있다. 정부 출범 초반 정부조직법 진통 이후 청와대 정무라인의 중요성이 다시 커진 것이다. 또 박 대통령의 국정과제 추진을 위한 입법화 과정에서 정치권의 협조를 받는 게 절실한 상황이기도 하다. 여당인 새누리당 내에서는 6월 국회에서 경제민주화 법안이 논의되는 동안 청와대의 역할이 미미해 애를 먹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청와대에서는 다선 의원에 정무적 감각을 갖췄고, 친박근혜계 인사로서 박 대통령의 속내를 꿰뚫고 있는 인사를 신임 정무수석에 적합한 후보군으로 보고 있다. 박 대통령은 물론 여야와 소통할 수 있는 친화력도 중요 포인트로 꼽힌다. 정치인 출신 3∼4명이 후보군으로 박 대통령에게 보고가 올라갔으며 최종 낙점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라는 얘기와 함께 일각에는 언론인 출신이 검토되고 있다는 관측도 있다. 다만 박 대통령이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느라 인선이 지연되고 있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

하마평으로는 정책위의장, 여의도연구소장, 국회 기획재정위원장 등을 지낸 3선 출신 김성조 전 의원이 새롭게 거론되는 가운데 같은 3선인 김학송 전 의원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초선 출신이지만 정무수석 대행 역할을 잘 소화했다는 평가를 받는 김선동 정무비서관의 승진 가능성도 힘을 얻고 있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