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넘어 미래한국으로] 김두관 “정치권 특권 상상못해 한국 정치인도 변해야”
입력 2013-07-03 19:00
정치인들 독일 유학記
“한국이 늘 기다리는 정치적 ‘메시아’가 독일 정치에는 없습니다. 국민이 곧 메시아거든요.”
지난 3월 독일 유학길에 오른 민주당 김두관 상임고문은 지난달 20일 니더작센주 고슬라르의 한 호텔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독일 정치권에는 특권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독일 사회민주당(SPD) 창립 150주년 기념행사에 한국 정치인 대표로 참석한 일을 소개하면서 “일정을 끝내고 호텔에서 나오는데 팔에 깁스를 한 낯익은 인사가 안내데스크에서 비용을 정산하고 있더라. 독일 전 총리 게르하르트 슈뢰더였다. 특권의식이 없는 점에 또 한번 놀랐다”고 전했다.
김 고문은 “독일에서는 민주 시민으로 살아가는 데 학력, 성별, 직업 등의 차별이 없다”며 “지구상 존재하는 나라 중에 분단국이었던 점, 사회적 시장경제와 질서자본주의로 얘기되는 경제성장과 복지 등을 볼 때 독일은 한국의 롤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김 고문은 그간 벨기에, 영국 등을 방문해 유럽연합(EU) 본부 관계자 및 의원들과 만나 독일 모델 연구에 비교·참고하기 위한 면담을 꾸준히 가졌고, ‘괜찮은 자본주의’의 공동저자인 한스외르그 헤어 박사 등 전문가와의 접촉을 통해 독일 전반의 시스템을 공부하고 있다고 했다.
김 고문은 독일 정치문화를 소개하며 한국 정치권도 변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독일에서는 정당 차원에서 철저하게 검증된 인사가 시, 주선거 등에 나서고 여기서 정치적 리더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인정받아야만 연방선거에 나설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끊임없는 토론이 이어진다고 덧붙였다. 또 독일식 정당명부제 도입도 주장했다. 김 고문은 “우리 정치는 지역주의에 기반하고 양대 기득권 정당이 독식하고 있는데 독일식 정당명부제가 도입되면 소수 정파 내지는 작은 이익집단 등의 요구도 반영될 수 있다”고 말했다.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공부하면서 술을 아예 끊었다는 김 고문은 “운동을 해 체중을 많이 줄였다”고 했다. 그는 7월 스페인 몬드라곤을 방문해 협동조합을 공부하고 향후 독일 본 등에서 지방자치, 정치교육 시스템을 돌아본 뒤 10월 한국에 돌아온다.
고슬라르=글·사진 김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