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사회적기업] “사회적기업 지원보다 기업가 육성이 먼저”
입력 2013-07-01 19:19
취약계층의 고용을 창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기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아직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다.
장대철 KAIST 경영대학원 교수는 1일 “사회적기업에 대한 지원 전에 사회적기업가 육성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사회적기업을 통해 영리 추구와 함께 사회적으로 공헌활동을 할 수 있는 기업가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장 교수는 “정부 지원이 급격히 증가하자 사회적기업 요건을 갖추지 못한 기업마저 사회적기업으로 선정된 후 급하게 시장에 들어서게 된 것이 문제”라며 “현재의 기업 위주 정책에서는 사회적기업가를 육성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적기업을 돕는 기관들도 단순히 사회공헌 차원으로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기업과 협업을 통해 함께 발전해 나가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했다. 기업과 정부, 민간조직과 사회적기업이 모두 유기적 협동체제로 움직일 때 서로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기업이 나서 사회적기업이 활동할 수 있는 새로운 사업 분야를 개척해 주는 방법 등이 있다고 장 교수는 제시했다. 그는 “정부의 경우 사회적기업이 일관성 있고 지속적으로 지원받을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사회적기업을 도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회적기업이 스스로 자립할 수 있는 생태계를 조성해 가는 한편, 공공시장 활성화를 위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공교육과 캠페인을 병행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정상훈 희망제작소 사회적경제센터장은 “정부가 지역 중심의 통합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민간사업자들은 지역 성공모델을 육성해야 한다”면서 “빠르게 성장하고는 있지만 사회적기업으로 진입하기에 적당한 업체는 그리 많지 않다”고 지적했다. 정 센터장은 또 “사회적기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 시스템도 필요하다”며 “이들이 사회적기업에 대해 충분히 학습한 뒤 이를 바탕으로 건실하게 경영할 수 있도록 장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미나 박세환 기자 min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