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안 3개 광역단체, 해양거점 육성 공동 노력

입력 2013-07-01 19:32

경북도와 강원도, 울산시 등 동해안권 3개 광역단체가 해양수산정책을 함께 논의한다. 수도권 인천항과 동남권 부산항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해양수산정책에 공동대응하기 위해서다.

경북도는 4일 대구경북연구원에서 동해안권 3개 광역단체 기획조정실장과 해양수산 관련 국장, 지역발전연구원 전문가들이 참석하는 ‘동해안권 상생발전 실무회의’를 개최한다고 1일 밝혔다.

경북도는 이번 회의에서 해양관광과 신(新)북극시대 북극항로, 무역항인 포항항(영일만 신항)과 울산항, 동해·묵호항 간 협력체계 구축 등 다양한 의제를 놓고 합의를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이 같은 공동대응은 해양수산부가 북극항로를 이용해 다음달쯤 유럽화물을 국내로 들여오는 시범운항을 하기로 한 데서 이뤄진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동·서·남해안 지자체 간 항로 주도권 선점을 둘러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강원도는 속초항을 중심으로 국제여객·관광중심 항만 육성을 주도하고 있고, 울산시는 해외 크루즈선의 울산항 유치를 통해 체류형 관광 세일즈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경북도는 해외 관광객을 각 지자체 항구마다 단독으로 유치하는 것보다 3개 시·도가 협력해 지역별 항에 공동 정박시켜 시너지 효과를 높이자는 제안을 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3개 시·도는 대형 관광선박이 정박할 수 있도록 부두설치에 필요한 국비예산을 공동 확보하는 제안을 할 계획이다. 특히 3개 시·도는 어민들의 소득 향상을 위해 수산가공 및 양식시설 확충을 위한 정부 공동 건의안도 추진한다.

앞서 해양수산부는 지난 4월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부산 북항 일대를 해양경제특별구역으로 지정하기 위한 법률안을 추진하기로 하고, 전남 광양 일대를 수산정책의 중심지로 집중 육성하는 안을 제시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동해안권 발전 방안이 외면당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준곤 경북도 해양개발과장은 “3개 시·도 협의체 모델은 2005년부터 함께 추진해 온 ‘동해안 종합개발계획’의 연장선상에 있다”며 “동북아지역 해양거점으로 동해안권 육성을 도모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