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불황에 보험도 양극화 심화
입력 2013-07-01 18:43 수정 2013-07-01 22:26
지난해 보험 가입률과 해약률이 동시에 늘어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보험 계약을 중도에 깨는 서민이 늘어난 반면 고액 자산가는 절세 혜택이 있는 보험에 대거 가입한 탓이다. 장기 불황으로 심해지는 양극화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생명보험협회는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인 2012회계연도 기준 보험계약 효력 상실 해지율이 9.9%를 기록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수치는 보험 회계연도 기준으로 2008년 12.4%에서 2009년 11.2%, 2010년 10.3%, 2011년 9.6% 등으로 계속 하락하다 4년 만에 처음 상승했다.
효력 상실 해지율은 두 달 이상 보험료를 못내 효력이 사라지거나 고객이 해지한 보험계약의 비율이다. 이 비율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29.4%로 정점을 찍은 뒤 9년 연속 하락하다 리먼브러더스 사태가 터진 2008년 말 다시 상승했었다. 경제가 크게 어려워질 때마다 해지율이 오르는 것이다.
서민은 경기침체와 소득 감소, 물가·공공요금 상승 등으로 경제적 부담이 늘거나 목돈이 필요해지면 다른 금융상품보다도 먼저 보험을 계약해지한다. 예·적금 이자나 주식투자 수익과 달리 당장 이익이 되지 않는 데다 길게는 수십년 동안 꼬박꼬박 돈을 부어야 하기 때문이다.
해지율이 높아졌는데 새로 보험에 가입하는 비율도 올랐다. 생명보험 상품의 신계약 비율은 지난해 20.8%로 올랐다. 이 비율은 2007년 25.5%에서 2011년 19.3%까지 계속 줄어왔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말부터 올 초까지 고액 자산가들이 세제혜택 폐지를 앞둔 즉시연금보험에 집중적으로 목돈을 부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