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중 문화교류 한 차원 높일 때

입력 2013-07-01 18:27

두 나라 국민의 심적 거리 좁혀 협력관계 뒷받침해야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국빈 방문 성과를 소리 없이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양국의 문화교류가 한층 가속도를 내야 한다. 상이한 체제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쉽게 이해관계를 일치시킬 수 없는 정치·외교 분야와는 달리 문화는 공통점을 찾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의 방중으로 양국간 교류의 넓이와 폭이 한층 더 깊어졌으면 한다.

황하문명을 기반으로 하는 중국 문화는 두말할 것도 없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같은 한자문화권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우리와는 오랜 교류의 역사를 갖고 있기도 하다. 정치, 경제적으로 성과가 적지 않았던 이번 국빈방문의 대미는 바로 양국의 한 차원 높은 문화교류를 통해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돼야 할 것이다.

두 나라의 교류가 지금까지의 수준을 획기적으로 뛰어넘기 위해서는 우선 정치, 군사적 관계를 완전히 배제하고 수직적이고 확산적인 방식을 벗어나야 할 것이다. 중국으로서는 대국주의에 터 잡은 패권주의적 사고를 고수하는 문화적 우월주의에 빠지지 않아야 한다. 과거의 지배적 역사에 기대 사실관계와 무관하게 자국 중심으로 모든 것을 해석하려는 편향성을 탈피해야 한다는 말이다.

돌이켜보면 한·중수교 20주년이 지났지만 그동안 양국은 경제 분야에 집중해 문화적 측면에서는 한류 외에는 이렇다할 성과를 얻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교육, 언론, 청소년 교류가 있었다지만 제한적인 데다 규모도 크지 않았다. 교류 확산의 가장 큰 장애는 동북공정으로 대표되는 중국의 자국 중심주의였다는 것이 엄연한 사실이었다. 문화의 평등성을 인정하는 데서 문화교류가 출발한다고 할 때 두 나라의 평화적 발전을 위해 상호이해의 폭이 더 깊어져야 한다는 의미다.

이런 점에서 이번에 두 나라 정상이 한·중 인문교류공동위원회를 만들어 교류 확대를 통한 인문적 유대감 형성을 높이겠다고 합의한 것은 의미가 적지 않다. 두 나라 국민의 마음의 거리를 더욱 좁혀 상호 협력 관계를 뒷받침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일 것이다. 이 기구에서 미래의 양국 문화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학계에서도 지금까지 만주와 요서지방 등 중국 동북부 지역과 관련된 우리 고대사를 연구하려고 해도 중국 측이 자료를 제공하지 않아 애를 먹었다. 특히 이 지역은 옛 고구려 영토에 자리 잡은 북한도 이해관계가 없지 않아 중국과의 협력이 사실상 전무했다고 한다. 중국과 문화교류가 강화될 경우 북한과의 접촉 기회도 생길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엿보게 하는 대목이다.

G2를 자부하는 거대 국가 중국과의 문화교류 확대는 우리에게는 통일한국으로 가는 과정에서 필요불가결한 선택일 수밖에 없다. 다만 두 나라 관계가 깊어질수록 갈등 요인도 그만큼 많아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두 나라가 서로의 역사와 체제를 존중하면서 공감대의 동심원을 보다 넓혀 세계 중심 국가로 우뚝 섰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