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주장 “NLL 포기 단어는 없으나 포기 의사 밝힌것은 사실”

입력 2013-06-30 18:16 수정 2013-06-30 22:50

새누리당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30일 민주당 문재인 의원이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이 사실이라면 정계를 은퇴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정계 은퇴할 문제가 아니다. 찬성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윤 수석부대표는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대화록에 NLL ‘포기’라는 단어는 없으나 포기 의사를 밝힌 것은 사실”이라며 “그렇다고 문 의원이 배수진을 치면서 정계를 은퇴하겠다고 하는 것은 너무 과하다”고 말했다. 대신 “굴욕적 남북관계의 오류를 두 번 다시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반성문을 쓰는 게 먼저”라고 문 의원과 민주당을 압박했다.

그는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 보관돼 있는 대화록 원본을 열람하자는 문 의원의 주장에 대해서는 “동의한다. 열람이 아니라 음성파일 원본, 녹취록 등 관련 기록을 공개하자”고 역제안했다.

문 의원이 친 배수진으로 민주당 주장이 탄력 받는 것을 견제하고, NLL 포기 발언 및 북핵 용인 등 노 전 대통령의 문제성 발언을 집중적으로 물고 늘어지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지난주 일부 여론조사에서 노 전 대통령의 발언을 ‘NLL 포기로 볼 수 없다’는 응답이 ‘포기로 볼 수 있다’는 의견보다 높게 나온 것을 계기로 향후 밑바닥 홍보도 강화될 전망이다. 김세연 제1사무부총장은 출입기자단 오찬 간담회에서 “민주당은 지역에서도 현수막을 걸었다”며 “NLL을 표시한 지도와 회의록 가운데 NLL 포기 취지의 부분을 뽑아내 당에서 홍보를 많이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은 또 “NLL 논란과 대화록 관련 내용은 국정조사와 별개 문제”라며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국정조사’에서 민주당이 주장하는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사전 유출 논란을 다룰 수 없다는 원칙을 밝혔다. 최경환 원내대표도 언론 인터뷰에서 “지금도 국정조사가 2개(국정원 댓글 의혹 국정조사·공공의료 국정조사)나 예정돼 있는데 국정조사만 하다가 볼일 다 볼 거냐”면서 NLL 국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당 일각에서는 정상회담 대화록 전문 공개가 여권에 유리할 것이 없고, 야당에 공격의 빌미를 줬다는 지적도 나온다.

엄기영 유동근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