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넘어 미래한국으로] “獨 통일은 유럽통합 차원… 동·서독 문제로 접근안해”

입력 2013-06-30 18:21 수정 2013-06-30 22:45

벤트만 연방 내무부 실장, 국민일보 인터뷰

“독일 통일은 동·서독 문제가 아닌 유럽 통합 차원에서 접근한 결과입니다.”

요르크 벤트만 독일 연방 내무부 실장과 리하르트 슈뢰더 전 동독 사민당 원내총무는 지난 27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가진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독일 통일 과정과 교훈을 설명하며 외교적 노력과 끊임없는 인적 교류가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벤트만 실장은 독일이 통일을 동·서독 ‘양자’ 문제가 아닌 유럽 통합이라는 ‘다자’ 문제로 전환시키는 외교적 노력에 의해 성공했다고 강조했다. 최근 남북대화가 단절되고, 한·미, 미·중, 한·중 정상회담 등이 잇따라 열리고 있는 가운데 남북통일을 위해선 외교적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그는 “1980년대 후반에 유럽에선 유럽공동체(EC)를 통해 유럽을 하나로 묶자는 논의가 계속 이어졌다”며 “주변 강대국들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해 서독 정부는 독일 통일을 유럽 통합 차원에서 접근했다”고 설명했다. 독일 통일이 오히려 유럽 통합을 앞당길 수 있다고 주변 강대국을 설득한 게 주효했다는 의미다.

1980년대 후반 4대 전승국인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은 모두 유럽 한복판에 통일 독일이 나타나 힘의 균형이 무너지는 것을 불안해하며 통일을 반대하거나 소극적이었다. 하지만 서독 정부의 외교적 노력으로 4개국은 1990년 9월 12일 동·서독 분할 점령권을 포기하는 ‘2+4 조약’을 체결했고, 그 해 10월 3일 통일을 이뤘다. 벤트만 실장은 “서독 정부는 유럽 안보협력회의라는 틀 내에서 동·서독 간 화해와 접근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고 설명했다.

슈뢰더 전 총무는 ‘대화와 인적 교류’를 강조했다. 그는 “동·서독은 교회를 중심으로 인적 교류가 계속 이뤄져 이질감이 덜했다”며 “이 때문에 동독인들은 서독 법과 제도를 무리 없이 받아들였고, 통일 후 법적·제도적·정서적 통합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소개했다. 그는 “남북도 서신 교환과 인적 왕래가 이뤄지고, 끊임없는 대화를 통해 서로 간 신뢰를 쌓아야 한다”고 말했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