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아티아, 28번째 EU 회원국 꿈 이뤘지만… 구제금융 ‘발칸의 무덤’ 우려
입력 2013-06-28 18:09
인구 450만명으로 아드리아해를 접한 크로아티아가 다음달 1일 28번째 정식 유럽연합(EU) 회원국이 된다. 옛 유고슬라비아 연방으로 내전을 겪은 크로아티아가 EU 회원국이 되면서 EU는 유럽의 화약고인 발칸반도에 평화 안전망을 구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취약한 경제구조와 부패 등으로 구제금융을 쏟아붓고 있는 그리스처럼 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정상국가 인정받고자 하는 꿈 이뤄=크로아티아는 정식 EU 회원국 가입을 축하하기 위해 30일(현지시간) 자정 수도 자그레브에서 EU 가입 공표와 함께 자축기념식을 거행한다. 이 자리에는 이보 요시포비치 대통령과 조란 밀라노비치 총리는 물론 EU 고위 인사들이 총출동한다.
크로아티아는 EU 가입을 계기로 국가 전반의 수준도 높아지고 내전을 겪은 전쟁의 이미지 역시 털어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베이치 수크레스키는 “크로아티아가 전쟁을 치른 비정상 국가가 아닌 유럽의 프랑스나 영국 같은 정상적인 국가로 보이길 원한다”고 말했다.
EU로서도 회원국을 발칸반도까지 확장해 동유럽과 중부유럽의 불안요소를 제거하고 평화와 안정을 뿌리내리며 경제공동체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내전을 겪은 옛 유고연방 국가로 크로아티아가 유럽의 안전망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EU는 크로아티아의 가입으로 냉전을 마무리 짓고 서유럽과 동유럽이 모두 하나 되는 ‘빅뱅’이 이뤄지게 됐다고 보고 있다.
◇‘발칸의 구제금융 무덤’ 우려도=장밋빛 전망만 있는 것은 아니다. 유럽이 전례 없는 경제위기로 고통을 받는 상황에서 관광업이 주류인 크로아티아의 경제전망 역시 밝지 않기 때문이다.
전체 실업률은 20%가 넘고 청년실업률은 50%에 육박하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역시 EU 평균은 고사하고 경쟁국인 헝가리나 폴란드 등 동유럽 국가에 비해 한참 뒤처진다.
이 때문에 독일 일간 빌트는 빚과 만연한 부패, 높은 실업률 등으로 크로아티아가 그리스처럼 구제금융 대상이 돼서 수백억 유로를 쏟아부어야 하는 ‘발칸의 무덤’이 될지 모른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최근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와 S&P는 불안정한 경제사정을 이유로 크로아티아의 국채등급을 정크본드 수준으로 하향 조정했다.
그나마 희망적인 것은 공공부문 부채나 국제투명성기구(IT)가 발표하는 투명성인식지수(CPI)가 다른 동유럽 EU 회원국인 불가리아나 루마니아에 비해 건전하다는 점이다. 공공부문 부채의 경우 GDP 대비 59%에 불과해 EU 평균(89%)에 비해 상당히 낮았다. 이는 아일랜드의 절반이고 그리스의 3분의 1에 불과한 수치다. CPI 역시 지난해 62를 기록해 불가리아(75), 그리스(94) 보다도 낮았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폴란드나 체코처럼 크로아티아가 고용유발 효과가 큰 자동자 산업 투자를 받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독일 dpa통신은 크로아티아가 EU 가입을 계기로 국가 전반을 ‘EU 수준’에 맞췄지만 아직도 개혁과제는 많다고 분석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