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록 원본과 달라 조작 가능성” 문재인, 檢수사·국조 요구

입력 2013-06-27 18:31 수정 2013-06-28 00:22


민주당 문재인(사진) 의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유출 의혹과 관련해 27일 국가정보원과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캠프 간 결탁 가능성을 제기하며 검찰 수사 또는 국정조사를 요구했다. 지난 대선 때 경쟁 후보였던 문 의원이 ‘선거 과정의 의혹’을 공식 제기하며 수사를 요구한 것이어서 대화록 공방이 향후 선거 결과에 대한 정통성 시비로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당시 청와대 비서실장으로 정상회담준비위원장을 지낸 문 의원은 트위터에 “(진본의) 대화록이 작성된 시기는 정상회담(2007년 10월 4일) 직후 1주일 이내”라고 공개했다. 이어 국정원이 지난 24일 공개한 대화록 표지에 생산일자가 2008년 1월로 돼 있는 점을 들어 “국정원의 누군가가 (이명박정부) 대통령직인수위 또는 MB정부에 갖다주려고 (별도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고 제기했다. 이어 “(2008년 1월 버전은) 원대화록이나 부본을 사본한 게 아니어서 내용의 동일성이 확인되지 않는다”고 진위 의혹을 제기했다.

문 의원은 그러면서 “대화록을 누가 왜 만들었는지, 내용 조작은 없는지, 특히 대화록이 박근혜 후보 진영으로 들어가 선거에 악용된 경위 및 후보 측과 국정원 간 결탁을 규명하기 위해 추가 수사나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이와 관련해 비상의원총회를 열고 대화록 원본 공개를 촉구했다. 또 ‘국기문란 전국민 선전전’을 결의하는 등 대대적인 공세를 예고했다. 대화록 불법 유출을 뒷받침할 추가 폭로도 준비 중이다.

새누리당은 이에 맞서 사태의 본질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에 있음을 부각시키며 강하게 반발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의원총회에서 “중요한 것은 NLL을 포기하는 그런 발언이 있었다는 사실이고, 지나치게 저자세적 언행으로 국민의 자존심을 훼손시켰다는 게 본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본질이 (공개의) 절차 문제로 왜곡돼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문 의원에 대한 의원직 사퇴 촉구도 잇따랐다. 새누리당 정문헌 의원은 의총에서 “문 의원은 대선 때 노 전 대통령의 NLL 포기 발언이 있다면 책임지겠다고 여러 차례 약속했다”며 “사퇴하길 강력히 촉구한다”고 했다. 같은 당 홍지만 의원도 “문 의원은 자신이 뱉은 말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면서 “경남 양산의 문 의원 집에 딸린 사랑채가 불법 시설물로 철거하라는 법원 판단이 나왔다. 논평의 가치도 못 느낄 정도”라고 비판했다.

백민정 유동근 기자 min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