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읍·면·동 주민센터 복지허브로 만든다

입력 2013-06-27 17:56

경북도는 체감도 높은 복지를 구현하는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해 읍·면·동 주민센터를 복지허브로 만든다고 27일 밝혔다. 이를 위해 주민센터의 일부 업무를 시·군 본청으로 이관하고 복지기능을 강화한다.

올해 하반기에 시 단위 동 주민센터 10곳과 군 단위 읍면사무소 1∼2곳을 시범 운영하고 내년부터 확대할 계획이다. 도시형과 농촌형을 구분해 추진한다.

주민센터의 지방세, 건설, 청소, 교통행정, 민방위 등 업무를 시·군 본청으로 이관하고 잉여 인력으로 기초생활수급 실태 조사, 사례 관리 등 복지업무를 강화한다.

또 복지급여 신청, 복지정보 종합안내, 저소득가구 사례관리 등 통합 맞춤서비스를 제공한다. 고용과 복지를 연계해 저소득 가구가 빈곤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돕고 방문간호사를 배치해 주민건강 상담을 한다.

시범 운영하는 읍면동에는 전액 도비로 무인민원발급기를 설치해 업무 부담을 덜어준다. 우수 읍면동에는 시상금 등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도는 사회복지 전담공무원 신변안전 보호와 근무여건 개선을 위해 CCTV, 비상벨, 전화기 및 녹음장치를 설치한다.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업무수행 실적이 탁월하면 근무 평점에 가산점을 부여하고 승진 기회를 늘린다는 방침이다.

사회복지 통합관리망 도입 이후 총 16개 부처 292개 복지업무 중 약 70%가 지방자치단체(읍면동)에 ‘깔대기처럼 몰려’ 사회복지전담 공무원들이 업무과중으로 어려움을 겪어 왔다.

황병수 경북도 보건복지국장은 “주민센터 주요 기능을 일반행정에서 복지행정으로 전환해 복지·고용·보건서비스 등을 통합 제공할 것”이라며 “필요한 인력은 중앙 정부와 협의해 단계적으로 충원하겠다”고 밝혔다.

대구=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