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부산 유세내용 국정원 대화록과 거의 비슷
입력 2013-06-26 18:33 수정 2013-06-26 22:25
새누리당 중앙선대위 총괄본부장을 지낸 김무성 의원이 지난해 12월 14일 부산 유세에서 7분간 낭독했던 노무현 전 대통령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간 대화 내용은 국가정보원이 지난 24일 공개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과 거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인에도 불구하고 김 의원이 대선 전에 대화록을 입수해 읽어봤을 개연성이 높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만약 그가 대선 전에 대화록을 읽었다면 명백한 실정법 위반이다.
김 의원이 유세에서 낭독한 문건 내용에 따르면 노 전 대통령은 NLL과 관련해 김 위원장에게 “헌법문제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는데 헌법문제 절대로 아니다. 얼마든지 내가 맞서 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국정원이 공개한 대화록의 ‘헌법문제라고 자꾸 나오고 있는데 헌법문제 절대 아니다. 얼마든지 내가 맞서 나갈 수 있다’는 노 전 대통령의 발언과 비슷하다.
김 의원은 또 노 전 대통령이 “‘제일 큰 문제는 미국이다. 나도 역사적으로 제국주의가 사실 세계인들에게 반성도 하지 않았고 오늘날도 패권적 야망을 절실히 드러내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고 소개했다. 이 부분 역시 국정원 대화록의 ‘제일 큰 문제가 미국이다. 나도 역사적으로 제국주의 역사가 사실 세계인민들에게 반성도 하지 않았고 오늘날도 패권적 야망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노 전 대통령 언급과 유사하다.
민주당은 26일 김 의원의 대화록 원문 입수 경위와 국정원 비선 라인을 밝히라고 요구했다. 배재정 대변인은 “김 의원이 원문 입수를 돌발 고백했다”면서 “국정원 국정조사에 댓글 사건뿐 아니라 비선 라인 존재, 원문 공개 과정, 새누리당과 국정원·경찰의 국정농단이 포함돼야 한다”고 밝혔다.
논란이 확산되자 김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문건’이라는 표현은 잘못 알려진 것이며, ‘원문을 봤다’는 얘기를 한 사실이 없다”며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원문을 입수했다’는 발언은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앞서 김 의원은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대선 때 대화록을 입수해 읽어봤다면서 “그걸 몇 페이지 읽다가 손이 떨려서 다 못 읽었다”고 밝혔다고 회의에 참석한 당 관계자가 전했다. 그는 “그 원문을 보고 우리 내부에서도 회의도 해 봤지만, 우리가 먼저 까면 모양새도 안 좋고 해서 원세훈(전 국정원장)에게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했는데 원세훈이 협조를 안 해줘 가지고 결국 공개를 못한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