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발찌 감지센터 증축 싸고 “우리 동네는 안돼” 님비 논란

입력 2013-06-26 18:21 수정 2013-06-26 22:06

서울 휘경동 서울보호관찰소의 증축 문제를 놓고 주민과 인근 학부모들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증축되는 건물이 ‘성범죄자 교육센터’로 쓰인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무조건 막아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됐다. 그러나 이 건물은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로 성범죄자가 출입할 이유가 전혀 없다. 근거 없는 루머가 ‘님비’ 현상을 부른 것이다.

26일 서울보호관찰소에선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 증축 공사가 한창이었다. 원래 시설 부족에 시달려온 데다 최근 전자발찌 착용자가 늘어나면서 확대가 불가피했다. 짓고 있는 건물은 3층 규모로 예정대로 공사가 진행되면 10월 완공된다.

위치추적중앙관제센터는 위성항법장치(GPS)를 이용해 전자발찌 착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상황실이다. 지난해 전자발찌 착용자의 재범이 잇따르면서 감시 강화 여론이 확산되자 법무부가 증축을 추진했다.

공사가 진행되면서 동대문구청과 보호관찰소, 법무부 측에 공사 중단을 요구하는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3일과 11일 구청 주최로, 25일 보호관찰소 주최로 주민설명회를 가졌지만 갈등은 해소되지 못했다. 주최 측이 ‘성범죄자 교육센터’란 소문은 사실이 아니라고 설명하려 했지만 오히려 비난이 쏟아졌다. 집회에 참여한 한 주민은 “주민들에게 설명도 없이 증축을 진행하다니 말도 안 된다. 환경이 얼마나 중요한데 왜 우리 지역에만 이런 시설이 있고 증축까지 해야 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보호관찰소 반경 1㎞ 안에는 초·중·고 10개 학교가 있다. 학부모들은 “범죄자가 들락거리는데 어떻게 아이를 학교에 보내겠느냐”면서 공사가 계속 진행될 경우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입장이다.

서울보호관찰소 관계자는 “성범죄자들이 돌아다닌다는 건 터무니없는 얘기”라며 “시민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근처 공원 조성 계획을 철회하고 주변에 경찰관서를 유치토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미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