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젊은이 피·죽음으로 지킨 곳”… 朴대통령, 盧 전 대통령 발언 간접 비판

입력 2013-06-25 18:48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서해 북방한계선(NLL)은 우리 젊은이들이 피와 죽음으로 지킨 곳”이라고 말했다.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 담긴 ‘NLL은 바뀌어야 한다’는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간접 비판으로 해석된다. 여야는 하루 종일 국가정보원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 정당성을 놓고 격돌했다. 6·25전쟁 발발 63주년 기념일에 대한민국 정치권은 또 다시 좌·우 이념 대결에 몰입했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면서 “우리의 NLL도 수많은 젊은이들이 피로 지키고, 죽음으로 지킨 곳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 자리에 있는 우리 국무위원들이나 대통령인 저도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의 뜻이 헛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아직도 많은 분들이 전쟁의 고통 속에 살고 있는데 이런 사실을 왜곡해 북침이니 하는 말이 나오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며 “왜곡된 역사인식은 교육 현장에서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 피로 지킨 대한민국의 역사를 왜곡하는 일은 결코 용납될 수 없고 그것은 역사와 국민에게 죄를 짓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여야는 국회 안팎에서 상대를 강력 비난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원내대책회의에서 “NLL의 진실이 밝혀지는데 여전히 민주당은 터무니없는 조작 주장을 편다”며 “무엇이 두려운지 문서 자체를 받으려 하지 않는다. 역사의 진실을 덮는 것만이 능사가 아님을 인식해주기 바란다”고 했다. 그러나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비상의원총회에서 “새누리당의 물타기 정치가 국회를 침몰시키고 있다. 발췌 내용을 보면 아무리 해석해도 그동안 호들갑 떨었던 내용과는 천양지차가 있다”고 반발했다.

남재준 국정원장이 출석한 국회 정보위원회에서는 대화록 공개의 위법성 여부가 쟁점이 됐다. 민주당은 “국익을 팔아먹었다”며 남 원장의 사퇴를 주장했고, 새누리당은 법적인 문제가 없다고 맞받아쳤다.

한편 여야는 국정원의 대선·정치 개입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에 합의했다. 새누리당 최 원내대표와 민주당 전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국정원 여직원 댓글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요구서를 26일 제출하고 27일 국회 본회의 보고를 거쳐 다음달 2일 본회의에서 처리키로 의견을 모았다. 여야는 또 6월 국회에서 일자리 창출과 경제민주화 관련 법안도 처리키로 했다.

신창호 임성수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