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대화록’ 충돌] 문구 싸고 제각각 해석… 여야, 2차 격돌 불가피

입력 2013-06-24 18:40 수정 2013-06-25 00:18

국가정보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24일 국회 정보위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전달해 그 내용이 일부 공개되면서 후폭풍이 상당히 거셀 전망이다.

내용은 공개됐지만 결국은 여야가 재차 문구를 둘러싸고 ‘제각각 해석’을 내놓으며 2차 격돌로 치달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야당에서는 벌써부터 ‘국정원 보관본’이 아닌 ‘대통령 기록관 원본’을 공개해야 한다며 국정원 보관본에 대한 수령조차 거부한 상태다. 결국 ‘공개 여부’를 둘러싼 여야 간 공방이, ‘해석의 공방’으로, 다시 ‘진본 여부의 공방’으로 계속해서 싸움의 성격만 달리하면서 지루한 대립으로 이어질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릐공개됐어도 곳곳에서 해석 충돌 불가피=대화록이 공개됐지만 결국 전체 맥락상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포기설’을 비롯한 남한의 이익에 해(害)가 될 만한 발언을 했느냐, 아니면 전체적으로는 괜찮은데 일부 설명에 문제가 있거나 굴욕적인 표현이나 대화 태도를 취했느냐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핵심인 ‘NLL 포기 발언’도 여당은 노 전 대통령이 ‘NLL은 바뀌어야 한다’고 밝힌 대목에 비춰 포기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노 전 대통령의 ‘마지막 비서관’을 지낸 김경수 노무현재단 봉하사업본부장은 이날 밤 보도자료를 내고 “정상회담 뒤 노 전 대통령의 각종 발언을 검토한 결과 대통령께서는 당시 회담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NLL 문제보다는 서해 평화협력지대 설치가 우선’이라는 점을 분명히 밝힌 것으로 파악됐다”고 반박했다. 결국 NLL 포기 문제는 발언의 ‘취지’가 어디에 있었느냐는 ‘해석의 영역’에 맡겨져 논란이 지속될 것으로 관측된다.

국정원 보관본이 진본이냐는 문제는 재차 뜨거운 이슈가 될 수 있다. 민주당은 당장 “대통령기록관 원본뿐만 아니라 녹음까지 들어봐야 진의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한다. 국정원 보관본이 진본인지 알 수 없는 데다 노 전 대통령의 어법상 글씨로 된 문서를 봤을 때에는 다소 문제가 있어 보여도 육성을 들어보면 실제 의도와는 많이 다른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특히 여당이 굴욕적인 표현으로 문제 삼고 있는 대목도, 노 전 대통령 특유의 단순화시켜 비유하는 표현이거나 상대를 이해시키기 위한 일종의 ‘설득 테크닉’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여야는 녹음테이프까지 공개할지와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보관본까지 공개할지를 놓고 팽팽하게 대치할 것으로 보인다.

릐남북관계에도 파장일 듯=대화록 중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발언 내용이 공개된 것도 논란이다. 북측이 앞으로 공개에 반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정상회담을 공개한다는 점에서 북한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우리 측의 외교 태도에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여야가 대통령기록관 보관본까지 공개하는 강수로 치닫기보다는 국정원 보관본을 공개하는 선에서 이번 사태를 마무리할 것이란 분석도 있다.

손병호 임성수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