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LL 대화록’ 충돌] 대화록 전문 총 100여 쪽… 새누리, 내용 공개 검토

입력 2013-06-24 18:41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의원들은 24일 오후 국가정보원이 전격 기밀 해제한 뒤 보내온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수령했다.

국정원은 직원을 시켜 서류봉투에 밀봉한 상태의 대화록을 국회 의원회관 각 의원실로 전달했다. 서류봉투에는 수령인 등과 같은 아무런 표시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화록 전문은 총 100여 쪽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화록이 전달된 뒤 일부 의원들은 내용 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대화록이 전달된 뒤 당 소속 정보 위원들을 소집해 긴급회의를 갖고 대화록 전문 공개 여부 및 방식에 대한 협의에 들어갔다.

대화록은 비슷한 시각에 민주당 소속 정보위 의원들에게도 전달됐으나 이들은 대화록을 수령하지 않고 각 의원실에 찾아온 국정원 직원들도 그대로 돌려보냈다. 특히 민주당 의원들은 국정원 직원들이 반드시 전달하겠다는 뜻을 취하자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도 정보위 의원들과 원내 지도부 주요 멤버를 소집해 긴급 대책회의에 들어갔다. 민주당은 국정원의 공개 배경을 분석하는 것은 물론, 공개 과정에서 청와대와의 교감 여부에 대해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문재인 의원은 국정원의 대화록 공개에 대해 “그 대화록을 대통령기록물이 아닌 것으로 다루는 행위에 대해 반드시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의원은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국정원은 (당시) 청와대의 지시에 따라 청와대가 제공한 녹음파일을 녹취해 대화록을 만들었고, 그것을 청와대에 보고하면서 한 부를 더 만들어 갖고 있는 것”이라며 “그런데도 그것이 대통령기록물이 아닐 수 있느냐”고 반박했다.

문 의원은 “국정원에 있다는 정상회담 대화록은 그들의 자료로 자체 생산한 것이 아니다”면서 “(당시) 회담장에 실무배석한 사람은 청와대 비서관 한 명뿐이었으며 그가 멀리 떨어진 곳에서 보이스폰으로 녹음을 해왔는데, 녹음상태가 좋지 않고 안 들리는 부분이 많아 국정원에 녹취를 맡긴 것”이라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