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오석 “고소득자 조세감면 줄여 서민 지원”
입력 2013-06-23 22:23 수정 2013-06-24 01:23
정부가 대기업과 고소득자에게 집중된 기존 조세 감면 제도를 정비해 중소기업, 서민·중산층 세금 부담을 최소화할 방침이다. 소득공제 제도를 세액공제로 개편해 소득세 부담의 형평성도 개선한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출입기자단과 계룡산 산행을 하면서 “비과세 감면을 정비해 세 부담의 형평성을 높이는 차원에서 제도 변화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기재부는 비과세 감면 정비 방안을 마련해 조만간 발표할 예정이다.
우선 기재부는 국가 지원금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면서 세액공제를 받는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R&D 설비투자 세액공제 대상 투자 금액에서 정부·공공기관 출연금을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다만 원천기술 R&D나 신성장동력 R&D 등 핵심 R&D 비용, 기술 혁신에 직접 기여하는 R&D 비용의 경우 세제 지원을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또 현 부총리는 기존 근로자 소득공제를 세액공제로 전환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같은 금액의 소득공제라도 소득 수준에 따라 혜택에 차이가 있어 형평성 차원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며 “교육비·의료비 등 세액공제로 전환할 대상에 대해서는 현재 검토하고 있고 조세 지원의 형평성, 세 부담에 미치는 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국회에서 논의 중인 공정거래법 개정에 대해서는 법적 규제보다 시장의 역할을 강조했다. 현 부총리는 “모든 경제행위를 법이나 규제로 접근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독과점이 있다면 시장을 경쟁으로 바꿔야지 법으로 정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현 부총리는 재정 운용의 어려움도 털어놨다. 그는 “조세가 3년 전에는 심각하지 않았다”면서 “재정을 확보할 방법이 없으니까 지하경제가 거론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세종=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