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쇼크] 1994년 대혼란→ 2004년 연착륙→ 2013년 ?
입력 2013-06-23 18:30
미국 양적완화 출구전략이 도대체 어떤 의미이기에 국제 금융시장이 이토록 요동을 칠까. 과거 미국이 풀어낸 유동성이 세계 금융시장에서 회수된 대표적 사례는 1994년과 2004년 두 차례다. 94년에는 갑작스러운 출구전략, 2004년에는 완만한 출구전략이 시행됐다. 세계 금융시장에 미친 파장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태도에 따라 판이하게 달랐다.
◇94년의 혼란, 2004년의 성장=2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Fed는 94년 2월 저금리 기조를 깨고 예상 밖의 갑작스런 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1년간 5차례 인상을 거치면서 연초 연 2%였던 기준금리는 6%까지 급등했다. 미국 채권시장에서 차입 투자를 했던 채권 투자자들은 ‘채권시장 대학살’로 불리는 채권가치 폭락을 겪으며 큰 손실을 입었다.
유동성 유입으로 89년부터 급성장했던 멕시코·아르헨티나 증시는 출구전략 이후 1년 만에 고점 대비 50% 이상 하락했다. 멕시코의 페소화 외환위기는 ‘데킬라 효과’로 남미 전역에 확산됐다. 데킬라 효과는 돌고 돌아 2년 뒤 한국 등 아시아 국가의 외환위기로 연결됐다.
반면 2004년에는 시장이 대비태세를 갖춰 위기를 피할 수 있었다. 앨런 그린스펀 당시 Fed 의장은 그해 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에서 “금리를 상당 기간 낮게 유지할 계획”이란 문구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사전 신호를 내보냈다. Fed는 이후 2년간 17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4.25% 포인트 인상했다. 한국 등 전 세계의 주가는 금리 인상 전에는 위축됐지만 금리 인상 이후에는 상승세로 전환했다. 미국·중국·유럽 등의 경제 체력이 튼튼했던 것도 금리 인상의 효과를 원활히 흡수할 수 있었던 배경이 됐다.
◇2004년에 가까운 올해… 실물경제 체력 변수=전문가들은 최근의 주가 폭락, 환율 급등이 과도하다고 본다. 올해 미국의 양적완화 출구전략 모습이 94년보다는 2004년에 가깝다고 보기 때문이다. Fed는 최소 1년간 양적완화 기조를 이어갈 것이라고 여유 있게 예고했다. 본격적인 금리 인상은 “먼 미래의 일”이라고 일축했다.
하지만 신흥국의 부채 상환능력 저하 등 글로벌 경제 체력이 약해진 것은 2004년과 다른 점이다. 많은 전문가들이 주식·채권 투자자에게 당분간 ‘방망이를 짧게 쥐라’(보수적 투자 태도를 가져라)고 권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김유미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경기회복 속도는 완만하고, 유럽은 실업률 상승으로 내수 위축이 지속되며, 중국은 내부 구조조정으로 경기회복이 불투명할 것”이라며 “하반기 금융시장은 단기적 반등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