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냉키 쇼크] 국내 시장금리도 ‘꿈틀꿈틀’

입력 2013-06-23 18:30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출구전략을 언급하면서 국내에도 시장금리 상승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금리가 오르면 가계의 이자부담이 폭증하면서 부동산 경기가 더욱 악화될 수밖에 없다. 기업도 회사채 금리 상승에 따른 부담을 안게 된다.

금융투자협회는 시장 지표물인 3년 만기 국고채 금리가 지난달 21일 연 2.60%에서 지난 21일 연 3.04%로 한 달 사이 0.44% 포인트 올랐다고 23일 밝혔다. 이에 따라 국고채 금리에 연동되는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인 적격대출 금리도 상승했다. 우리은행 적격대출 금리는 지난달 9일 연 3.75%에서 지난 14일 연 4.17%로, 신한은행도 같은 기간 연 3.8%에서 연 4.2%로 상승하는 등 은행별로 0.4% 포인트 안팎 올랐다.

국고채 금리 상승은 시장금리 상승으로 직결돼 변동금리 대출이나 신용대출 금리도 인상이 불가피하다. 지난 4월 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의 78%가 변동금리대출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가계 부실이 격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회사채 시장도 급등하고 있다. 지난 21일 신용등급 AA- 기업의 3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금리는 연 3.40%로 급등했다. 전날 연 3.32%에 이어 급등세가 이어졌다. BBB- 등급의 회사채는 9.05%를 기록해 지난해 7월 이후 처음 9%대를 넘어섰다.

조달금리(채권금리)가 상승하자 기업들은 채권 발행을 최대한 미루고 있다. 지난 17∼21일 회사채 발행규모는 4810억원으로 올해 주간 평균(1조570억원)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STX그룹이나 쌍용그룹 등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기업들은 채권금리 상승에 따른 ‘유동성 가뭄’ 타격이 더 크다.

임희정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특히 조선·해운·건설 등 취약업종은 업황 개선 여지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더욱 깊은 유동성의 늪에 빠질 수 있다”며 “이들 업종을 중심으로 기업 구조조정 폭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 경제의 부담은 더욱 커지고 있다. 정부가 내놓은 추가경정예산안 편성, 기준금리 인하 등 경기부양 카드가 위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 기존 가계 대출자의 연체, 한계 기업 확대 등으로 내수·수출이 함께 부진의 늪에 빠질 가능성도 있다. 부동산 신규대출 급감으로 부동산 경기가 주저앉을 수 있어 정부의 발걸음이 무거워지고 있다. 일부에서는 장기간 지속됐던 저금리 기조가 마침내 종식되는 게 아니냐는 전망마저 나오고 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