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버냉키 쇼크 위기는 과장”
입력 2013-06-23 18:08 수정 2013-06-24 01:16
정부가 ‘버냉키 쇼크’로 출렁이는 금융시장을 겨냥해 ‘공포심 잠재우기’에 나섰다. 경제는 심리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장 투기거래와 쏠림현상으로 환율이 급변동하면 적극 개입하기로 했다. 다음달 장기채권 발행 물량을 줄여 시중 유동성도 탄력 조정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위기가 과장됐다고 본다. 양적완화 축소는 이미 노출된 악재이기 때문에 조만간 진정국면에 접어들 것으로 예측한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1차관은 23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긴급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고 “우리 경제는 경제 기초체력이 다른 신흥국보다 양호해 급격한 자본유출 가능성이 낮다”고 밝혔다. 추 차관은 “벤 버냉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발언 이틀 뒤인 21일부터 시장 불안이 다소 진정되면서 미국 다우지수가 소폭 올랐고, 상승세를 보이던 한국물 신용부도 스와프(CDS) 프리미엄도 4bp(0.04%) 하락했다”며 “외국인 채권 자금은 20일과 21일 3000억원 이상 순유입됐다”고 강조했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기자단과 계룡산 산행에서 “출구전략 자체가 회복이 가까워졌다는 신호”라며 “시장 혼란이 곧 잦아들 것인 만큼 회복에 앞서 기업들이 투자에 나설 만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1997년 외환위기나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현재 상황이 다르고, 급격한 ‘외화 가뭄’에 대비한 ‘실탄’도 넉넉해 시장의 우려는 기우(杞憂)라는 입장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외화보유액은 3281억 달러에 이른다. 경상수지는 15개월째 흑자다.
이에 따라 정부는 불안심리 확산에 대응하는 수위를 높였다. 한국은행은 빠져나가는 외화자금을 분석하기로 했다. 금융 당국은 외화 유동성 점검에 들어갔다. 금융회사가 해외 실수요에 한해 외화대출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외화 유출을 통제한다. 다음달에 발행하는 장기채 물량을 축소하는 등 유동성도 탄력적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아직 마음 놓을 단계는 아니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공포지수’로 불리는 주요국 주가 변동성 지수는 출구전략이 가시화된 이후 연중 최고치로 치솟았다. 주요국 통화의 환율 변동성 지수도 1년 만에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김찬희 기자 ch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