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 첫 한·일 외교회담 6월 말 ARF(아세안 지역포럼) 기간 열린다
입력 2013-06-23 19:06 수정 2013-06-24 01:16
과거사 및 영유권 문제 등으로 고위급 인사 교류가 단절됐던 한국과 일본 양국의 외교장관이 이달 말~다음달 초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에서 양자회담을 갖는다. 한·일 두 나라 외교장관이 만나는 것은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양국 관계 개선을 모색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한 외교 소식통은 23일 “이달 말부터 브루나이에서 열리는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에서 두 나라 장관이 별도로 회담을 갖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 소식통은 “현 시점에서 우리 장관의 일본 방문은 정치적으로 부담스러운 측면이 있지만 다자 회의에서 자연스레 만나는 것은 다르다”며 “이런 차원에서 양국 정부가 양자회담을 적극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3월과 지난해 12월 각각 외교장관에 취임한 뒤 처음 만나는 것이어서 상견례 의미도 있다. 양국 정부는 30일~7월 2일 열리는 아세안 및 아세안지역포럼(ARF) 외교장관회의 기간에 양자회담을 갖기 위해 구체적 일정 등을 놓고 실무협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정부는 한·일관계의 안정화를 외교 분야 주요 국정과제로 삼았으나 출범 초부터 일본 지도층의 역사인식 문제가 불거졌고 이후 고위급 인사 교류는 이뤄지지 않았다. 특히 윤 장관은 4월 아소 다로(麻生太郞) 일본 부총리 등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직후 일본 방문을 취소했고, 이달 초 싱가포르 아시아안보회의에서도 양국 국방장관회담이 이뤄지지 못했다. 양국 외교장관이 만난 것은 지난해 9월 유엔총회가 마지막이다.
윤 장관은 회담에서 일본의 책임 있는 인사들이 역사인식을 올바르게 갖는 게 중요하다는 우리 정부의 기본 입장을 거듭 강조할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양자회담이 이뤄진다 해도 일본 정부의 전향적인 입장 변화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본격적인 관계 개선으로 이어지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편 이번 아세안 관련 외교장관회의에선 한·일 양자회담 외에도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이 참가하는 한·미·일 3국 외교장관회담도 열릴 예정이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