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소년 절반이 6·25 발발연도도 모른다니

입력 2013-06-23 18:09

안전행정부가 지난달 25일 안보의식 여론조사를 한 결과 6·25전쟁 발발연도를 묻는 주관식 문제에 성인의 35.8%, 청소년의 52.7%가 정확한 답을 쓰지 못했다. KBS가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6·25를 일으킨 나라가 북한이 아닌 다른 나라라고 답한 중고생 비율이 10%를 넘었다. 20% 이상의 학생이 해방 연도를 몰랐고, 김구 선생이 시인이라는 응답도 있었다고 한다.

청소년들의 부실한 역사의식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 것은 어제오늘이 아니다. 그러나 해결책은 겉돌고 개탄의 소리만 높아지고 있다. 역사인식이 취약해진 가장 큰 원인은 교육의 부실 때문이다. 2005년부터 대입 수능시험 필수과목에서 국사가 제외되면서 부실이 심화됐다. 고교 3년 동안 85시간의 한국사 수업을 하도록 돼 있는데 1학년에 몰아서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수능에서 한국사를 선택하는 비율이 27.7%에서 지난해 6.9%까지 떨어지자 일찌감치 의무시간을 때우고 입시 공부에 집중하겠다는 계산이다. 이러니 수업의 질이야 더 거론할 필요가 있겠는가.

미래 세대에게 역사를 가르치는 것은 사회의 책무다. 올바른 역사관은 사회구성원이 갖춰야 할 가장 기본적 소양이다. 국사를 수능에서 밀어낸 것은 이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보다 입시부담을 어떻게 덜어줄 것인가만을 고려한 근시안 때문이다.

안양옥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회장이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국사 교육 강화가 시대적 과제라며 국사를 수능 필수과목으로 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 등은 지난 5일부터 국내뿐 아니라 세계 각지 한인회를 대상으로 100만 서명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교육부는 국사 교육을 내실화할 방안을 강구해 실행에 옮겨야 한다.

역사 교육의 부실도 문제지만 편향된 교육은 더욱 위험하다. 감수성이 예민한 백지 상태의 청소년들 뇌리에 이념적으로 경도된 역사를 주입하는 것은 범죄행위다. 역사 사실을 왜곡하는 교과서는 아예 만들지 말아야 하고 특정 이념에 편중된 시각으로 역사를 가르쳐서도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