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록 열람, 당·청 사전교감설 공방
입력 2013-06-21 19:02
21일 열린 국회 운영위원회에서는 전날 새누리당 의원들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열람을 놓고 여당과 청와대 간의 사전교감 여부 등이 쟁점이 됐다.
민주당 홍익표 의원은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에게 “남북정상회담 당시 국방부장관으로 노무현 전 대통령을 수행했는데 노 전 대통령이 NLL을 부정하는 발언을 했느냐”고 물었다. 김 실장은 “NLL에 대해선 노 전 대통령과 (나는) 의견 차이가 없었다”고 답했다. 이어 “대화록에 그런(노 전 대통령이 NLL을 부정하는) 발언이 나온다고 주장하는데 알고 있느냐”는 질문에는 “대화록에 대해선 아는 바가 없다. 대화록을 봤다면 자신 있게 말하겠지만 못 봤다. (대화록 공개에 대한) 정치적 판단은 국회에서, 법률적 판단은 법원에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새누리당 윤상현 의원이 “노 전 대통령 발언을 알고 있나”고 재차 물었지만 “최근 언론에 나온 것은 아는데 회담장에 못 들어갔기 때문에 무슨 말이 오갔는지 모른다”고 했다. 그는 “노 전 대통령과 NLL에 대해 얘기한 적이 별로 없다”면서 “NLL은 영토선이고 해상 경계선이다. 북한이 이를 무시하고 침범하니까 무력 충돌이 일어난다. (노 전 대통령은) NLL을 영토선으로 보기에는 문제가 있다고 말씀하신 것 같다”고 부연했다.
윤 의원이 “굴욕적인 갑을관계를 정상적인 남북관계로, 대등한 협력관계로 만들기 위해 대화록 공개가 필요하다. 동의하느냐”고 질의했고 김 실장은 “진실은 밝히는 게 옳다고 생각한다. 공개하는 데는 절차가 정해져 있으니 정치권에서 결정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은 “국정원이 열람을 허용하기 전에 청와대의 사전양해나 협의가 있었느냐”는 의원들의 질문에 “그런 적 없었다”고 짧게 말했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새누리당 의원들의 대화록 열람은) 국정원에서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공개한 해당기관의 일”이라며 사전 교감설을 강력 부인했다. 이 관계자는 “그것이 청와대가 허락할 일이냐. 그에 대한 책임은 그쪽(국정원)에 있다”고 했다.
신창호 김재중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