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규식 임정 부주석 등 274명 6·25전쟁 ‘납북자’로 인정
입력 2013-06-21 18:27
6·25전쟁 납북피해 진상규명 및 납북피해자 명예회복위원회는 2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 주재로 제10차 회의를 열어 김규식 대한민국 임시정부 부주석 등 274명을 6·25전쟁 납북자로 인정했다.
김 부주석 외에 제2대 국회의원을 지낸 신용훈 전 의원, 구자옥 전 경기도지사, 백석기 전 서울시 교육국장, 심동구 전 서울지방법원 부장판사 등이 이번에 납북자 명단에 포함됐다. 이들은 모두 1950년 자택이나 가족 집에서 인민군에 납치됐다. 이로써 2010년 2월 위원회 출범 이후 지금까지 모두 2265명이 6·25전쟁 납북자로 공식 인정됐다. 정부 관계자는 “납북자 명단에 포함된다고 해서 별도의 금전적인 혜택 등이 있는 것은 아니다”라며 “다만 마치 ‘월북자’인 것으로 비쳐져 가족들이 겪었던 고통에서 벗어나 명예를 회복해주는 차원이 크다”고 설명했다.
정 총리는 “정전 60주년이 되도록 가족의 생사도 모른 채 아픔을 감내한 납북자 가족들에게 위로의 뜻을 전한다”며 “6·25전쟁 납북진상 규명과 납북자 명예회복을 위한 위원회 활동에 지원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시도실무위원회 심의를 거친 308명을 심의했다. 납북자로 추가 인정된 264명 외에 8명은 납북자로 인정하지 않았고, 26명은 판단불능 결정을 내렸다.
6·25 납북피해 신고는 올해 말까지 주소지 관할 시·군·구청과 재외공관에 신청하면 된다. 위원회는 피해 신고뿐 아니라 납북자와 가족의 명예회복을 위한 기념사업, 진상조사보고서 발간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