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수집 목적 미국서도 드론 운용”

입력 2013-06-20 18:56

미국 정부의 정보수집 행태에 대한 우려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19일(현지시간) 로버트 뮐러 연방수사국(FBI) 국장이 현재 FBI가 국내 감시 목적으로 무인기 드론을 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뮐러 국장은 이날 워싱턴DC 연방의회에서 열린 상원 사법위원회 청문회에 참석, 국내 정보수집 목적을 위해 드론이 운용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 ‘극히 제한적인 방법과 횟수로’ 운용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청문회 종료 후엔 FBI가 추가 성명을 내고 ‘무인기는 국경지역을 감시하고 당국 요원들의 심각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만’ 이용된다고 밝혔다.

사법당국 관계자는 이에 대해 “FBI는 지금까지 12번 넘게 드론을 이용해 왔다”며 “드론은 조용하고 눈에 별로 안 띄어서 인질범이나 바리케이드를 친 범인과 대적해야 할 때 헬리콥터보다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고 CNN은 전했다.

미국 내에서 드론이 운용된다는 사실 자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지난 2월에는 앨라배마 주택가의 한 지하벙커에 납치된 어린이 구출작전에 드론이 투입돼 적지 않은 역할을 한 바 있다. 그러나 FBI 수장이 국내 감시 목적으로 드론을 운용한다는 사실을 밝히자 적지 않은 논란이 일고 있다. 척 그래슬리 의원은 CNN에 “사생활의 권리가 위기에 놓인 것 같다. 드론을 운용할 수 있는 합법적인 이유가 있다면 설명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래슬리 의원은 “과거 에릭 홀더 법무장관이 나에게 서한을 보내 ‘국토안보부도 드론 운용을 하고 있으며, 마약단속국(DEA)과 주류·담배·화기단속국(ATF)도 드론 기술을 갖고 있다’고 밝혔었다”고 전했다.

한편 AP통신의 게리 프루잇 사장은 같은 날 워싱턴DC에서 열린 내셔널프레스클럽 모임에서 연설을 통해 “언론자유의 수준이 위축되고 있다”고 밝혔다. 프루잇 사장은 최근 법무부가 자사 기자 100여명이 사용하는 전화선 통화기록 두 달 치를 압수해 파문을 일으킨 사건을 언급했다.

그는 “AP통신에 대한 법무부의 행동이 벌써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오랫동안 신뢰를 쌓아온 취재원들이 우리와 말할 때 겁먹고 근심하게 됐다”고 우려했다. “이런 으스스한 효과가 비단 AP통신에만 일어나는 건 아니다. 다른 언론사에도 마찬가지로 일어나고 있다”는 게 프루잇 사장의 말이다. 그는 현 정부가 역사상 가장 공격적으로 기밀을 추적하고 있다고도 밝혔다.

양진영 기자 hans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