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위, 석달 공전 끝 열린다
입력 2013-06-20 18:05
국회 정보위원회가 지난 4월 임시국회부터 계속돼온 ‘개점휴업’ 상태를 끝내고 25일 열린다. 국가정보원의 대선·정치 개입 의혹 사건이 최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정보위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20일 브리핑에서 “25일 오전 10시 정보위를 열기로 여야 간 합의가 됐다”며 “국정원 사건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정보위가 열리지 않은 이유는 새누리당 소속 서상기 정보위원장이 (자신의) 법안을 상정해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몽니를 부렸기 때문”이라며 “지금까지 3개월 동안 있었던 일들에 대해 서 위원장이 사과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민주당 정보위원들은 서 위원장 앞으로 위원회 개의 요구서를 보냈다. 새누리당 관계자도 “야당의 요구로 정보위를 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정보위는 지난 3월 20일 이후 한 차례도 열리지 않았다. 서 위원장은 직접 발의한 사이버테러방지법 심의를 선결조건으로 요구하며 3개월 동안 개의를 거부해 왔다. 이에 민주당은 서 위원장이 직무유기를 하고 있으며, 이는 국정원 사건과 연루돼 있는 의혹 때문이라고 주장해 왔다. 서 위원장을 검찰에 직무유기로 고발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한편 민주당 ‘전두환 전 대통령 등 불법재산 환수 특별위원회’는 이날 오후 서울 연희동 전 전 대통령 자택을 항의 방문했다. 최재성, 강기정 의원 등은 전 전 대통령 자택 앞에서 즉각적인 재산 환수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한 뒤 자택 담벼락에 ‘국민 압류’라는 딱지를 붙였다. 민주당은 또 전 전 대통령의 불법 은닉재산에 대한 제보를 받고 조사를 벌이는 ‘환수의 신’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키로 했다.
임성수 유동근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