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장 100명 이상 물갈이說… 靑 벌써 검증 착수

입력 2013-06-19 18:56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미뤄져 왔던 공공기관장 인사가 수면 위로 떠오르면서 ‘물갈이 교체’가 현실화될 기세다. 18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12년도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결과에서 낙제점을 받은 기관장이 속출하면서 인사수요가 대폭 늘어났기 때문이다.

기재부가 조만간 이 같은 내용을 박 대통령에게 보고하면 결국 대통령의 의중이 공공기관장 인사 폭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공공기관장 인선 기준에 대해 “새 정부의 국정철학을 공유할 수 있는 사람, 해당 기관에 대한 전문성을 지닌 사람을 임명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여러 차례 말해 왔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평판 검증’에도 공을 들이라고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이달 초까지만 해도 이 같은 기준에 따라 60여명의 공공기관장에 대한 인사검증을 진행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인사검증 대상은 임기 만료가 가까워지거나 이미 사퇴 의사를 피력한 기관장들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기재부 평가에서 공공기관운영위원회가 경고 또는 해임 건의를 할 수 있는 D·E 등급 기관장이 18명(평가대상 96명 중 18.75%)이나 되고 ‘리더십·책임경영·주요사업·계량·노사관계’ 등 5개 부분 가운데 어느 한 부분이라도 문제가 있을 경우 받는 C등급 평점의 기관장도 30명에 달하면서 인사 대상 기관장 숫자가 당초보다 훨씬 늘어나게 됐다. 벌써 관가에는 전체 295개 기관 중 100곳 이상의 기관장을 교체하게 될 것이라는 말이 흘러나올 정도다.

청와대 관계자는 19일 기자들과 만나 “(공공기관장 평가 결과가 기관장 인선에) 여러 참고 요인 중 하나가 되지 않겠느냐”면서도 D등급 이하의 기관장 전원 교체 여부에 대해선 “구체적으로는 모른다”고 신중한 입장을 피력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는 최근 진행 중이던 각 부처 차원의 공공기관장 인선 공모 절차를 사실상 중단시킨 채 후보군을 대폭 확대해 정밀 인사 검증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처 고위공직자들의 산하 기관장 연쇄이동에 따른 ‘관치(官治) 논란’과 박 대통령과의 인연을 내세워 기관장 내정설을 퍼뜨리는 특정 정치인들의 ‘낙하산 시비’를 사전 차단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다만 공공기관장 인선이 완료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된다. 정밀 인사검증에다 중단됐던 각 부처의 공모 과정도 다시 진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