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나루] 다시 주목받는 ‘전두환 집앞 골목’

입력 2013-06-19 18:47 수정 2013-06-19 22:05


전두환 전 대통령의 ‘연희동 골목길’이 18년 만에 다시금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됐다. 대한민국 현대사에서 잊혀질 수 없는 장소인 이 골목길을 야당 의원들이 20일 집단 방문키로 한 것이다.

민주당 최재성 의원은 19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20일 오후에 민주당 의원들, 5·18 광주민주화운동 단체 등과 함께 1672억원의 추징금 납부를 촉구하기 위해 전 전 대통령 자택을 항의 방문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최 의원은 “전 전 대통령이 29만원밖에 없다고 하는 게 말이 되느냐”며 “국민들의 분노를 전달하고 오겠다”고 덧붙였다.

현장 방문은 최 의원이 특위 위원장인 ‘민주당 전두환 전 대통령 불법재산 환수 특위’ 전체회의에서 결정됐다. 국민들이 조속한 추징금 납부를 요구하는 만큼 직접 찾아가 항의 뜻을 전달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방문에는 민주당 의원 10여명과 광주에서 상경하는 5·18 단체 회원 등 100여명이 같이한다.

서울 서대문구 연희2동에 있는 전 전 대통령 자택은 그에게 영욕이 서려 있는 곳이다. 이곳에서 살다 대통령이 됐고, 퇴임한 뒤 이곳에 있다 뇌물수수와 내란죄 등으로 검찰 수사대상이 됐다. 특히 1995년 12월 2일에는 검찰 소환에 반발해 측근들과 함께 ‘연희동 골목길 성명’을 발표한 후 고향 합천으로 내려갔다. 그러나 성명 발표 10여 시간 뒤인 다음날 새벽 안양교도소로 전격 압송됐다.

특위는 향후 전 전 대통령 일가가 소유한 사업체를 찾아가 1인 시위와 함께 국민 서명운동도 전개키로 했다. 추징금 시효가 올해 10월 만료되므로 6월 국회에서 반드시 ‘전두환 추징법’을 처리하겠다는 의지에서다.

여야는 이날부터 법사위에서 ‘전두환 추징법’ 관련 8개 법안의 심사에 돌입했지만 평행선을 그었다. 현행 3년인 추징 시효를 연장하는 쪽으로 의견 접근을 이뤘지만 가족 등으로 추징 대상을 확대하는 것에는 여전히 이견을 보였다. 하지만 정치권 논의와 별개로 국민적 시선이 모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전 전 대통령이 ‘제2의 골목길 성명’이라도 내놔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