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소외계층 집수리 민관 협력으로 추진
입력 2013-06-19 16:22
[쿠키 사회]서울시가 올 연말까지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민관 협력형’ 집수리 사업을 진행한다.
시는 민간기업과 협력해 저소득층, 쪽방거주자 등 소외계층 1200가구를 대상으로 집수리 사업을 벌인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사업이 시가 100% 예산을 지원하는 ‘관(官) 주도형’이었다면 ‘민관(民官) 협력형’은 시 예산과 기업의 후원을 매칭해 지원하는 것이다.
일단 올해 민관협력 대상 물량은 전체 집수리 대상 1200가구 중 100가구로 책정됐다. 대상 가구는 최저생계비의 150% 이하인 저소득층 가구 중 최근 2년간 집수리 지원을 받지 못한 가구다.
시 관계자는 “관 주도형 집수리는 가구당 100만원 내외로 지원되는 반면 민관 협력형은 가구당 300만원까지 지원된다”며 “단열, 창호 등 고비용이 드는 시공도 할 수 있어 대상 가구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시는 올해 사업 수행기관을 한국해비타트(서울지회)로 정했다. 해비타트는 연말까지 집수리 자재물품과 후원금을 모집 중이다. 또 대림산업 등 기업체가 참여해 현재 기금 1억2800만원을 모금했다.
시는 특히 ‘단열 보강’에 초점을 맞춰 장판 교체와 페인트 작업, 단열 작업 등을 진행할 예정이다. 시에 따르면 지난해 집수리 전후를 체크한 결과 수리 이후 주택은 에너지가 최고 45.6% 감소했다.
시는 이달 구로구 개봉3동 지역 노후주택 3가구를 시작으로 7월 서대문구 개미마을, 도봉구 방이골 일대 주택을 수리할 예정이다. 특히 정비구역 해제 또는 해제유력지역, 철거 위주 정비사업의 대안으로 계획 중인 마을 만들기 시범사업 대상지 등 노후주택 밀집지역을 우선 시공키로 했다.
한편 시는 2009년부터 소외 저소득층에 대한 집수리 사업에 총 74억원을 투입, 8172가구를 수리했다. 시 관계자는 “이번 민관 협력형 집수리는 시로선 예산 대비 사업효과를 높이고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면서 쾌적한 환경에서 난방비까지 절감할 수 있는 상생형 사업”이라고 설명했다.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