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 안된 ‘콩나물 국밥’ 회동… 이견만 확인한 채 결국 ‘빈손’

입력 2013-06-18 18:16 수정 2013-06-18 22:19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18일 ‘콩나물 국밥 회동’에서 민주당 김한길 대표에게 “거의 10년 만에 이런 자리를 만들게 됐다. 아주 의미 있는 자리”라고 말했다. 하지만 여야가 국가정보원 대선·정치 개입 사건을 두고 대치하고 있는 탓에 이날 회동은 양당 대표가 국밥을 함께 먹은 것 이상의 소득은 얻지 못했다.

황 대표는 모두발언에서 “존경하는 김 대표는 취임 이후 아주 강력한 정치개혁을 하고 계시다. 존경해마지 않는다”며 “김 대표를 모시고 여러 가지 쇄신안에 대해서 함께하기를 바란다”며 한껏 치켜세웠다.

하지만 김 대표의 반응은 냉랭했고 의례적인 인사를 마친 뒤 작심한 듯 국정원 사건을 꺼내들었다. 그는 “이 자리에 오면서 마음이 가볍지 않은 이유는 이미 여야가 합의했던 국정원 등 국가 권력기관의 대선 개입과 관련한 국정조사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 너무나 가슴 아프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집권 초기에 여야 간 합의한 것이 이렇게 처음부터 진행되지 못한다면 앞으로 여야 관계가 어떻게 신뢰를 바탕으로 해서 이어갈 수 있겠느냐는 걱정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허니문 종료’를 언급하며 새누리당에 사실상 최후통첩을 보냈다.

모두발언 공개 후 회동은 비공개로 약 75분 동안 진행됐다. 논의는 대부분 국정원 대선·정치 개입 의혹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 여부에 집중됐다. 황 대표는 “국정원 매관매직 의혹, 국정원 여직원 인권 유린 문제에 대한 수사가 끝나지 않았다”며 국정조사 실시에 난색을 나타낸 반면, 김 대표는 “수사가 종결됐기 때문에 국정조사를 즉각 실시해야 한다”는 주장을 굽히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두 대표가 의견차만 확인하면서 애초 논의될 것으로 예상된 여야 및 청와대의 3자 회동 정례화, 양당 대표 회동 정례화 등은 합의를 보지 못했다. 양측은 국회의원 특권 내려놓기 법안 등 지난 4월 합의한 내용을 재확인하고 돌아섰다.

이번 대표 회동은 두 차례 연기된 끝에 열린 것이다. 당초 13일로 예정됐으나 일정 조율 등의 문제로 16일로 늦춰진 뒤 다시 이날로 연기됐다. 회동은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의 3자 회동이 연기되면서 양당 대표들이라도 먼저 만나 정치 쇄신 문제들을 논의하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다음 일정도 잡지 못하면서 ‘일회성 행사’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런 가운데 김 대표는 19일 무소속 안철수 의원의 싱크탱크인 ‘정책 네트워크 내일’의 첫 심포지엄에서 축사를 할 예정이다. 황 대표도 축사할 예정이었으나 다른 일정이 생겨 참석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임성수 유동근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