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어르신 복지도우미 사업 실효성 의문

입력 2013-06-17 22:09

강원도가 사회복지공무원의 업무경감을 위해 마련한 ‘어르신 복지도우미 사업’이 공무원과 노인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17일 도에 따르면 최근 사회복지공무원들이 과중한 업무를 호소하며 자살하는 사건이 잇따르자 지난 4월 ‘어르신 복지도우미 사업’을 개선책으로 내놨다. 6∼11월 60세 이상 노인을 읍면동에 1명씩 배치한 뒤 현장 동행방문, 민원상담 등을 통해 사회복지공무원들의 업무부담을 줄인다는 것이다. 대상지는 인구 1만명 이상 14개 시·군 읍면동 47곳이다. 근무는 일주일에 3∼4일, 근무시간은 한 달 40시간 이내다.

그러나 도가 예산을 전액 부담하는데도 원주, 춘천 등 7개 시·군(읍면동 30곳)은 업무 가중을 우려해 사업에 불참했다. 이들 지자체 관계자들은 “근무시간이 짧아 행정의 연속성이 떨어지고 개인정보 유출 우려, 노인 관리 및 업무 교육 등으로 업무가 가중될 수밖에 없다”고 한목소리로 문제점을 지적했다.

더욱이 한 달 급여가 20만원에 불과해 노인들마저 외면하고 있다. 사업 대상지 17곳에서 이날 현재 5명이 채용된 상태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전액 도비사업이라 어쩔 수 없이 사업에 참여했지만 채용 공고를 낸 지 한 달이 넘었는데도 참여 노인이 없어 예산을 전액 반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 사업은 서울시가 지난 4월 공무원들의 반발에 부닥쳐 포기했던 ‘어르신 동행서비스 사례관리 사업’과 이름만 다를 뿐이다. 때문에 공무원들 사이에서는 ‘서울시가 포기한 사업을 도가 이름만 바꿔 추진하고 있다’는 비판마저 제기되고 있다.

한 공무원은 “사회복지공무원이 현장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 전혀 모른 채 책상 앞에 앉아 만든 ‘탁상행정’에 불과하다”면서 “단 한 번이라도 해당 공무원들로부터 의견을 수렴했다면 이런 정책은 시행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도 관계자는 “지난 4월 추경예산이 수립된 뒤 서울시의 상황을 뒤늦게 알게 됐다”면서 “일부 시·군의 반발이 있어 원하는 곳에서만 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추후 점검을 통해 효과 없음이 확인될 경우 사업을 더 이상 추진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춘천=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