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수집 당연시… ‘빅 데이터 대통령’ 오바마

입력 2013-06-17 19:15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정보 수집 논란에 관해선 자신 있어 보였다. 심지어 옅은 미소를 짓기도 했다.

국가안보국(NSA)의 ‘빅 브라더’ 사태가 수면위로 떠올랐을 무렵인 지난 7일 오바마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 회담을 위해 캘리포니아를 방문했다. 그에게 많은 질문이 쏟아졌다.

“(정보 수집 도구인) 프리즘 기술이 위협적이지 않습니까?”

“이런 대화를 할 수 있게 된 것도 행복하군요. 5∼6년 전이었다면 이런 토론을 하지 않았을 겁니다. 하지만 누구도 당신의 휴대전화 통화 내용을 듣지 않습니다. 프로그램이 그렇게 돼 있지 않으니까요.”

워싱턴포스트(WP)는 16일(현지시간) 주말판 ‘아웃룩’을 통해 오바마의 자신만만한 발언을 소개하며 그를 ‘빅 데이터 대통령’이라고 칭했다.

오바마의 데이터에 대한 믿음은 당선 전부터 감지됐다. 유권자 정보를 수집·구분하고 맞춤형 선거 전략을 쓴 것은 그의 당선 비결이었다. 이런 경험을 토대로 백악관이 데이터를 논쟁의 소지가 없으며 이데올로기를 뛰어넘는 ‘사실’이라고 여긴다는 것이다. 오바마의 데이터 신앙은 정책으로도 발현됐다. 미 정부는 지난해 3월 2억 달러를 들여 ‘빅 데이터 연구소’ 건립을 추진하고 85개 사례가 포함된 데이터 개발 계획을 발표했다.

그러나 NSA가 막대한 돈을 들여 통화 기록과 인터넷 데이터를 수집한다는 폭로가 나온 가운데 대중은 정부가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것을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됐다.

지난 3월 제임스 클래퍼 NSA 국장의 발언은 이런 차이를 보여준다. 민주당 소속 론 와이든 정보위원회 상원의원이 “미국인들의 개인 정보를 수집합니까?”라고 묻자 클래퍼 국장은 우선 “아니다”고 대답했다. 그러면서도 “고의적으로는 아닙니다. 무심코 수집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고의적으로는 그렇지 않습니다”고 덧붙였다.

오바마 행정부가 가진 데이터에 대한 제한된 시각은 언제든 사리사욕을 위해 정부가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는 위험을 간과한 데서 비롯됐다고 WP는 지적했다.

박유리 기자 nopimula@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