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대만 관계 가까이… 더 가까이

입력 2013-06-17 19:16


중국과 대만 간 민간 교류가 더욱 활성화된다.

중국 정부는 16일 대만과의 교류를 촉진시키기 위한 새로운 조치 31가지를 발표했다. 푸젠(福建)성 샤먼(厦門)시에서 이날 열린 제5차 해협포럼에서다. 여기에는 양안 인적 교류, 대만 여행, 취업, 문화 교류, 판권(版權) 거래, 양안 직항(直航) 문제, 대만기업에 대한 융자 등이 포함돼 있다.

이들 분야의 중국 정부 기관으로는 중앙대만공작판공실, 최고인민법원, 공안부, 인력자원 및 사회보장부, 교통운수부, 문화부, 신문출판광전총국, 국가여유국(관광국) 등이 관련돼 있다. 해협포럼은 양안 사이의 민간교류 확대, 협력 강화, 공동 발전 촉진을 위한 것으로 2009년 5월 푸젠성에서 처음 열렸다.

우선 중국 내 13개 도시 주민들의 대만 여행이 추가로 허용된다. 선양(沈陽), 정저우(鄭州), 우한(武漢), 쑤저우(蘇州), 닝보(寧波), 칭다오(靑島), 스자좡(石家庄), 창춘(長春), 허페이(合肥), 창사(長沙), 난닝(南寧), 쿤밍(昆明), 촨저우(泉州) 등이다. 이들 도시 중 선양, 정저우 등 6개 도시는 오는 28일부터, 스자좡, 창춘 등 7개 도시는 8월 28일부터 각각 개방된다.

중국인의 대만 여행은 양안 협상을 거쳐 2008년 7월 18일부터 정식으로 시작됐다. 중국 정부는 그 뒤 5년 동안 개인 여행 허용지역을 확대했다. 대만 단체관광은 중국 내 31개 성급 도시에서 이미 허용된 상태다.

중국의 대만 여행객은 2008년 5만5000명에서 지난해 197만명으로 늘었다. 연평균 105%에 달하는 증가율이다. 지난해 중국에서 대만을 찾은 인원은 262만명, 대만에서 중국을 방문한 사람은 533만명에 달해 양안 쌍방 교류 인원이 거의 800만명에 근접했다. 지금 추세라면 곧 양안 교류 인원 1000만명 시대가 도래할 전망이다.

중국 내에서 유효기간 5년짜리 ‘대만동포증’을 새로 발급해 주는 도시 11곳을 추가한 것도 주목된다. 중국에 사는 대만 사람들이 지금까지는 20개 도시에서만 대만동포증을 새로 발급 받을 수 있었지만 이번 조치로 훨씬 편리해졌다. 대만 사람들이 중국 내에서 전문기술요원 자격시험을 치를 수 있는 범위도 확대됐다. 여기에는 통신. 출판, 투자건설관리사, 관리컨설턴트, 지진안전평가엔지니어 시험 등이 포함됐다.

베이징=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