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머 세계銀 경제담당국장 “한국, 금리상승 대비 시작해야”

입력 2013-06-17 18:46

한스 팀머 세계은행 경제전망담당 국장은 17일 “외부 충격에 대응하려는 신흥국들에 가장 중요한 것은 자국 경제의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라며 “지금은 당황할 때가 아니라 금리상승에 대비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국은행 초청으로 방한한 팀머 국장은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금융위기에 적절하게 대처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외부 충격에 대응하는 데 집중하면서 자국 경제 구조개혁은 소홀히 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은 수출이 출렁이자 내수 부양책으로 대응했지만 효과가 제약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불필요했다”면서 “더 중요한 것은 현재 경제구조를 잠재성이 낮은 제조업에서 잠재성이 높은 서비스업 중심으로 바꾸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특히 한국의 서비스·금융 부문을 대외에 개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팀머 국장은 미국의 출구전략(양적완화 축소 및 중단)이 쉽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양적완화 축소는 채권, 주식시장 등의 부를 왜곡하는 것”이라며 “중앙은행이 금리를 정상화한 적은 있지만 유동성을 회수한 경험은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대해서는 일본이 살아날 경우 아시아 국가들에 이익이 되겠지만 만약 실패할 경우 세계경제에 큰 불안정성을 낳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강준구 기자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