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암각화 ‘이동식 투명댐’으로 보존키로
입력 2013-06-16 18:18
정부와 지자체 간 의견 차이로 10년간 마찰을 빚어온 울산 반구대 암각화에 이동식 투명댐을 설치하는 방식의 보존 방안이 마련됐다.
정부는 16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홍원 국무총리와 변영섭 문화재청장, 박맹우 울산시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국무조정실이 밝혔다. 합의에 따라 암각화 주변에는 수위가 높아져도 물이 닿지 않도록 이동식 투명댐이 설치될 예정이다.
울산시 울주군 반구대 암각화는 세계 최초로 고래사냥 기록을 묘사한 선사시대 바위그림이다. 1971년 12월 발견돼 국보로 지정됐다. 발견 전인 1965년 건설된 사연댐으로 인해 댐 수위가 높아지는 5월부터 11월까지 매년 6개월 넘게 물에 잠겨 있다. 이 때문에 암각화는 급격히 훼손돼 왔다. 이에 2003년 문화재청은 댐 수위를 낮춰 암각화를 보존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그러나 울산시는 식수확보 대체 방안이 필요하다며 팽팽히 맞섰고 갈등은 10년 넘게 계속됐다.
이날 협약에 따르면 문화재청과 울산시는 지반조사, 구조안전성 평가, 사전 검사 등 기술적 검토를 거쳐 이른 시일 내 암각화 주변에 카이네틱 댐(Kinetic Dam)을 설치키로 했다. 카이네틱 댐은 고강도 투명막으로 이뤄진 작은 댐으로 물이 암각화에 닿는 걸 막아주는 일종의 임시 제방이다. 수위 변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이동 및 해체가 쉽다. 또 햇빛을 투과시켜 이끼가 생기지 않는다.
정부는 기술검토 결과 항구적 보존 방안으로 적절치 않다는 결론이 내려지더라도 일단 댐을 세운 뒤 장기 방안을 재논의키로 했다.
울산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반구대암각화보존대책특별위원회는 “암각화를 일단 물속에서 건져낼 수 있다는 점에서 찬성한다”며 환영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부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