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독물 취급업체 10곳중 4곳 사고 위험

입력 2013-06-16 17:58


국내 유독물 취급 업체 10곳 중 4곳이 화학 사고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고발생 위험이 있는 업체 대부분이 수도권에 몰려 있어 사고가 날 경우 대형 인명 피해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환경부는 국무조정실·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소방방재청과 합동으로 지난 3∼5월 전국 유독물 취급 사업장 3846곳에 대해 실시한 전수조사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그동안 실시해오던 부분 점검 방식에서 벗어나 처음으로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전문기관이 모두 참가해 대상 사업장 전체에 대해 실시됐다. 지난해 9월 구미 불산 사고 이후 비슷한 화학 사고가 잇따르면서 화학물질 취급 현장 관리 실태를 총체적으로 파악해야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조사 결과 전체의 42%에서 시설 노후화나 배관연결 불량, 전기설비 폭발방지 시설 미설치 등 화학 사고 위험 취약 사항이 1건 이상 발견됐다. 적발된 업체 중에는 대기업 계열사도 대거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많은 업체가 누출차단 시설을 갖추고 있지 않거나 내구성이 취약한 재질을 사용하고 있었다. 소화기 등 개인보호 장구나 방제 장비를 적절히 구비해 두지 않은 업체도 많았다. 유독물을 실은 화물차가 아파트 단지에 버젓이 주차돼 있기도 했다.

지역별로는 중소 규모 화학물질 취급 업체가 밀집한 수도권 사업장들에서 위험 요소가 많이 발견됐다. 경기도 안산 반월공단과 시흥 시화공단은 관리 부실이 특히 심각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정부는 지적사항 6892건 중 즉시 시정이 가능한 것들은 현장에서 바로 시정 조치했다. 시설 변경이 필요한 사항은 내년까지 개선하라고 권고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정부경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