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영등포 민주당사 폐쇄… 10분의 1로 줄여 여의도 이전”
입력 2013-06-14 17:56 수정 2013-06-14 23:01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14일 서울 영등포 중앙당사를 오는 8월까지 폐쇄한 뒤 10분 1 정도로 규모를 축소해 여의도로 당사를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또 중앙당 인력을 기존보다 30% 감축하고, 대신 17개 시·도당에 40명 안팎의 인력을 새로 배치하는 등 중앙당 기능도 축소·개편키로 했다.
김 대표는 국회 기자회견에서 “중앙당 당직자 수(150명 안팎)를 정당법이 정하는 범위(100명) 이내로 슬림화하겠다”면서 “이제까지 관행적 편법 운영으로 비대해져 있는 중앙당을 정상화하는 조치”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중앙당은 98명의 인원이 유지되고 그중 17명 정도는 시·도당에 민원 청취 및 지역정책 개발을 하는 역할의 ‘지역정책협력관’으로 파견해 실질적으로는 81명이 남게 된다.
대신 싱크탱크인 민주정책연구원의 정책 기능을 대폭 확대해 현 17명 연구인력을 50명 수준으로 늘리기로 했다. 변재일 민주정책연구원장은 “50명 가운데 20명 이상을 역시 지역정책협력관으로 파견할 방침”이라고 밝혀 지역에 파견되는 인사가 40명 수준이 돼 시·도당 위상이 대폭 강화될 전망이다. 김 대표는 혁신안을 발표한 뒤 “중앙당의 기득권을 대폭 축소하고 실질적 지방 분권화를 꾀하는 ‘김한길식(式) 독한 혁신’의 일환으로 이해해 달라”고 했다.
김 대표는 혁신안 발표가 무소속 안철수 의원과의 ‘새 정치’ 경쟁 차원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안 의원은 축소할 당사나 당직자가 있기나 하느냐. 안 의원은 줄일 게 아무것도 없지 않으냐”면서 비교 대상으로 거론되는 것이 못마땅하다는 반응을 나타냈다. 하지만 이런 불쾌한 반응 자체가 양측 간 ‘신경전’이 가열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김 대표는 중앙당 규모가 축소돼 당직자들이 일할 공간이 협소해지는 데 대해 “현재의 당 대표실이 나한테 너무 넓다. 이 공간을 당직자들에게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대신 당 대표실보다 4분의 1 사이즈인 대표비서실장이 쓰는 사무실을 대표실로 쓸 방침이다.
민주당은 전신인 열린우리당 시절인 2004년 3월 불법 대선자금 사건이 터지면서 호화 당사라는 비판이 일자 여의도 당사에서 철수, 영등포시장 내 옛 농협 청과물공판장 자리로 당사를 옮겼다.
당은 혁신에 나섰지만 그 과정에서 일부 당직자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불가피해 이들이 반발하고 있다. 당직자들은 “의원들이 번번이 선거에서 져 놓고 그 책임을 전부 다 당직자들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불만을 터뜨렸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