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국가, 이란·헤즈볼라 제재

입력 2013-06-13 19:28 수정 2013-06-13 22:05

시리아의 바샤르 알 아사드 정권을 지원하고 내전에 개입하고 있는 이란과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에 대한 경제 제재가 중동 내에서도 강화되고 있다. 쿠웨이트 대형 유통 체인이 이란에 대한 보이콧을 단행하는 한편 걸프협력회의(GCC) 또한 헤즈볼라에 대한 각종 제재 조치를 발표했다.

쿠웨이트의 슈퍼마켓 체인이 이란산 제품에 대해 구입 거부를 실시했다고 AFP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쿠웨이트 유통 협동조합 50개 가운데 최소 9개가 이란 제품을 선반에서 철수시킨 것이다. 현재 쿠웨이트 유통시장에선 협동조합이 대다수 소매상점을 점유하고 있다. 이들 중 한 협동조합은 추후에 이란 노동자를 해고하고 체류 허가를 취소하겠다는 강경 발언을 쏟아냈다. 쿠웨이트에는 이란 노동자 5만여명이 있으며 대다수가 저임금을 받고 있다.

앞서 GCC는 시리아 정부군과 함께 내전에 투입된 헤즈볼라 조직원에 대해 체류 허가 취소, 금융 및 상거래 제한 등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다. GCC는 이슬람 수니파가 주류를 차지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연합, 카타르 등 부유한 걸프만 산유국 6개국 모임이다.

한편 핵무기 개발 의혹으로 서방으로부터 경제 제재를 받고 있는 이란 최고국가안보위원회(Supreme National Security Council)가 작성한 것으로 추론되는 기밀 보고서가 반정부 단체에 유출돼 곤욕을 치르고 있다고 중동 언론 알아라비아는 이날 보도했다.

4월 10일에 작성된 이 보고서는 “이란 금융 기관이 도산 위기에 있으며 국가가 은행 시스템에 대한 통제력을 잃고 있다” “예금자들의 대거 인출을 막아야 한다”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보고서는 이란중앙은행(CBI)으로 전송됐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박유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