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은퇴 63세, 예상은퇴 57세… 정년연장 장기 로드맵 마련해야”

입력 2013-06-13 18:57

국민들이 은퇴하고 싶은 연령과 실제 예상되는 은퇴 연령의 격차를 메우기 위해 60세 정년연장 이후 추가 연장을 위한 장기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3일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전국 성인 남녀 10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평균 희망 은퇴 연령은 63세이지만 예상 은퇴시점은 57세로, 일을 하고 싶지만 일을 할 수 없는 기간은 6년이라고 밝혔다.

‘고령화 사회에 대한 인식과 대응’이라는 제목의 이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의 희망은퇴 시점은 65∼70세가 43.4%로 가장 많았고, 60∼65세(39.8%), 70세 이상(9.8%), 55∼60세(6.0%), 55세 미만(1.0%) 순으로 집계됐다. 반면 노동 현실을 감안해 예상되는 은퇴 시점은 55∼60세가 34.8%로 가장 많았고, 60∼65세(33.1%), 50∼55세(19.5%), 65세 이상(8.9%), 50세 미만(3.6%)이 뒤를 이었다.

적정한 노후를 보내는 데 필요한 생활비로는 월 151만∼200만원이라는 대답이 31.5%로 가장 많았다. 하지만 자신의 상황을 감안할 때 노후 예상 수입액은 월 51만∼100만원(33.6%)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아 역시 ‘적정 생활비’와 차이를 보였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권혜숙 기자 hskw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