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산모들 갈 곳 없다… 분만실·산부인과 전문의 갈수록 줄어
입력 2013-06-13 18:19
최근 3년간 분만실과 산부인과 전문의 수가 모두 줄어 조산·합병증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 산모의 진료가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3일 보건복지부의 용역 의뢰로 대한모체태아의학회가 진행한 ‘분만실 및 고위험 임신·분만 실태 조사’에 따르면 산부인과 병원 분만실의 병상 수는 2010년 2389병상에서 지난해 2243병상으로 6.1%(146병상) 줄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분만실 병상 수가 2011년 856개에서 지난해 768개로 100개 가까이 감소했다. 강원도와 제주도의 경우 각각 35병상, 49병상에 불과했다. 강원도의 산모는 1만1612명(고위험 4863명·2011년 기준), 제주도의 산모는 5585명(고위험 2663명)이었다. 병상 수는 산모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고위험 산모가 수도권 병원을 가더라도 장시간 이동해야 하는 문제가 생긴다.
실제 진료 중인 고위험 산모를 다른 병원으로 이송하는 데 1∼2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고, 분만실 장비와 인력 여유가 있는 병원을 알아보고 출발하는 데만 평균 66분이 걸리는 것으로 조사됐다. 분만 가능 병원에 가려면 1시간 이상 걸리는 지역이 전체 면적의 30% 이상인 분만 취약지역은 강원 11개, 경북 10개 등 전국 48개 지자체에 달했다.
2010년 782명이던 산부인과 전문의 수도 지난해 742명으로 3년 연속 감소했다. 전문의의 고령화 현상도 점점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대부분이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에 집중돼 지방에서의 고위험 산모 진료가 갈수록 어려워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를 수행한 학회 김윤하(전남대병원 교수) 학술이사는 “결혼을 늦게 하면서 고령 산모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이들을 진료할 수 있는 분만 인프라가 필요하다”면서 “지역 내 상급종합병원에 고위험 분만 통합치료센터를 설치해 산모가 안전하게 분만하고 신생아가 즉각적으로 처치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