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회담 무산 南 책임… 미련 없어”

입력 2013-06-13 18:01

북한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는 13일 남북당국회담 무산을 우리 정부 책임으로 돌리면서 “도발적 망동을 절대로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회담 무산 이후 나온 북한 당국의 첫 공식 반응이다. 북측은 특히 앞으로 당국회담에 미련을 가지지 않겠다고 밝혀 남북관계는 당분간 냉각기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조평통은 대변인 담화를 통해 “북남당국회담이 괴뢰패당의 오만무례한 방해와 고의적인 파탄 책동으로 시작도 못해보고 무산됐다”며 “남측은 이번 사태가 북남관계에 미칠 후과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남측이 처음부터 장관급 회담을 주장하고 통일부 장관을 내보낼 것이라고 몇 번이나 확약했는데도 회담 직전 수석대표를 아래급으로 바꿔 내놓았다”며 “북남 대화 역사에 있어본 적이 없는 해괴한 망동으로 무례무도의 극치”라고 비난했다.

북측은 특히 담화를 통해 지난 9일 남북 실무접촉 협상 과정도 구체적으로 공개했다. 또 그동안 남북 공식 회담에서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가 단장으로 나간 적은 한 차례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정부는 북측이 공개한 실무접촉 내용이 일방적으로 왜곡됐다고 반박했다. 통일부는 입장자료를 통해 “북한이 수석대표 급(級) 문제를 이유로 남북당국회담을 무산시키고 담화를 통해 실무접촉 과정을 일방적으로 왜곡해 공개한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수석대표 문제에 대해 “우리 측은 실무접촉에서 회담을 장관급이 하는 게 좋은데 북측 사정이 있다면 그에 맞춰 보내겠다는 점을 얘기했다”고 말했다. 노동당 비서가 회담 대표로 나선 전례가 없다는 주장과 관련해서도 “북측은 1994년 정상회담 예비접촉에서 대남 담당 비서인 김용순이 대표로 나왔다”고 설명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