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BS회장 해임 신중 요구하는 청원 묵살”

입력 2013-06-11 18:24


새누리당 의원들이 금융감독원의 압박으로 사의를 표명한 BS금융지주 이장호(사진) 회장의 구명을 청와대에 탄원했으나 묵살됐다는 증언이 나왔다. 당내에선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가 배후에서 이를 조종했다는 주장과 모피아(재무부와 마피아의 합성어)가 조직적으로 개입했다는 설이 나돌았다.

새누리당 A의원은 1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교체 움직임을 3주 전부터 알고 있었고, 이에 일부 의원들이 단체로 구명을 추진했으나 잘 안 됐다”고 털어놨다. 이어 “만약 해임이 대통령의 뜻이었다면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과 얘기가 더 진행됐을 텐데 그렇지 않았다”며 ‘모피아 개입설’을 제기했다. 이 회장을 퇴진시키고 대구·경북(TK) 출신 금감원 인사를 신임 회장에 앉히려는 움직임이 일자 새누리당 의원들이 ‘부산지역 민심에 어긋나니 신중히 해 달라’고 청와대와 경제부처에 요청했지만 모피아의 조직적인 방해로 묵살됐다는 것이다.

이 회장의 사퇴 의사가 박 대통령의 의중을 내세운 일부 측근들의 국정 개입과 청와대 내부 권력다툼에서 기인했다는 분석도 있다. 친박(親朴·친박근혜) 성향의 당 관계자는 “신임 NH금융지주 회장과 KB금융지주 회장에 모피아들이 내정된 것은 친박 원로의 입김이 작용한 것”이라며 박 대통령의 자문그룹 ‘7인회’의 김용환 새누리당 고문을 지목했다. 김 고문 역시 박정희 전 대통령 당시 재무부 장관을 지낸 모피아 출신이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당·청 간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국회 정무위 새누리당 간사인 박민식 의원은 “금융부문에 대한 인사가 ‘관치금융 논란’의 핵심인데, BS금융지주는 정부 지분이 전혀 없는 민간은행”이라며 “대통령을 잘못 보좌하고 있는 것”이라고 청와대에 직격탄을 날렸다. 다른 의원은 “청와대 인사가 시스템이 아닌 사람에 좌우되다 보니 비서실장이 문제가 되고, 모피아 출신이 지목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민주당 문재인 의원도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부산시민들의 강력한 비판 여론도 마이동풍. 민간금융사에 대한 아무런 법적 근거 없는 이런 인사개입은 관치를 넘어 직권남용의 불법행위”라고 비판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