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마주한 전북 군산시-충남 서천군 ‘금강대전’

입력 2013-06-11 16:22

[쿠키 사회] 금강(錦江)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는 전북 군산시와 충남 서천군이 각종 현안을 둘러싸고 쉼 없이 대립하고 있다. 두 지자체의 갈등과 마찰이 갈수록 커져 ‘금강대전(大戰)’으로까지 불린다.

11일 군산시와 서천군에 따르면 이들 지자체는 금강하굿둑 해수(海水)유통을 비롯해 해상매립지 개발, 나룻배 운항 문제 등을 놓고 심각하게 맞서 있다.

금강하굿둑 해수 유통 문제는 5년 묵은 논란거리다. 서천군과 충남도 등은 2009년부터 “금강호 수질 개선을 위해서는 바닷물을 유통시켜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충남 시장·군수 협의회는 최근에도 결의문을 채택하고 ‘금강하구호 농업용수 확보를 전제로 한 부분 해수유통 방안 적극 검토’, 난립한 국책시설로 황폐해진 하구역 생태계 조사·연구와 환경복원 대책 수립 등 4개 항을 요구했다.

이에 군산시와 전북도는 “수질개선을 위해선 충남지역인 금강 상류 오염원을 줄이는 노력이 급선무”라고 반박하고 있다. 군산시는 “해수를 유통시킬 경우 농업과 지역산업 활동에 막대한 어려움뿐 아니라 양수장을 이전할 때 천문학적인 비용이 발생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 논란은 국토교통부가 2010∼2012년 용역을 실시해 ‘해수유통은 타당성이 없다’는 결론을 내렸지만 서천군이 수용 불가를 외쳐 접점을 찾지 못했다.

이들 시·군은 군산항 앞 해상매립지(202만여㎡) 활용 건에서도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군산시는 1985년 군산항 확장공사 때 쌓아 섬이 된 해상매립지에 종합체육시설과 생태공원 등을 만들 것을 2011년 국토부에 제안했다. 시가 “매립지가 흉물로 방치돼 개발이 절박한 상황”이라고 주장하자, 국토부가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그러나 서천군이 강력히 막아섰다. 군과 ‘군산 해상도시 건설 저지비상대책위원회’는 “매립지를 개발한다면 금강하구 황폐화를 가속화시켜 서천군민을 사지로 몰아넣을 수 있다”며 즉각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또 이들은 금강 유역에 나룻배(유람선)를 운항하는 문제를 놓고도 입씨름을 벌였다. 올해 초 서천군과 논산시·부여군, 전북 익산시 등 4개 시·군이 협약을 맺고 나룻배 운항에 합의하자, 군산시가 크게 반발했다.

군산=국민일보 쿠키뉴스 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인기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