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성장률 ‘최악땐 1%대 곤두박질’ 전망 왜…

입력 2013-06-10 18:09


중국의 성장엔진이 꺼져 올해 성장률 목표치 7.5% 달성 불발은 물론 최악의 경우 1%대로 가라앉을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이는 과거 중국 정부가 2008년 4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6.8%라고 발표한 데 대해 당시 모건스탠리는 1%, 메릴린치는 0%라고 분석해 시장에 충격을 던졌던 상황과도 흡사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지난 3월 중국의 성장률이 2030년까지 1%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는 잿빛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우선 불투명한 중국의 경제지표가 시장 불안과 의혹을 증폭시킨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미 사우스캐롤라이나 에이킨대 경영대학원 셰텐(謝田) 교수는 중국의 경제성장률을 분석한 논문에서 “중국 정부는 GDP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위조해 국제사회를 기만하고 자본을 중국으로 끌어들였다”고 비난했다. 미 인디애나주립대 정주위안(鄭竹園) 교수도 과거 중국의 에너지 사용량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시기에도 성장률은 증가했던 역설을 지적하며 “중국이 발표하는 지난해 대비 성장률은 전분기 대비가 아니라 의미가 없다”고 일침을 놨다.

최근 발표한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들은 이 같은 암울한 전망이 실제로 현실이 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중국의 지난달 수출은 10개월 사이 최저치인 1% 증가에 그쳤다. 지난해 GDP 성장률이 최근 13년래 가장 부진했던 상황에서 그나마 중국 경제를 지탱하던 수출마저 빨간불이 켜진 셈이다. 지난달 실적은 4월의 14.7%에 비해서도 현격하게 위축된 수치다.

이는 수출을 가장한 핫머니(단기 투기자금)를 대대적으로 단속한 이후 성장률이 보다 현실적인 모습을 띠게 될 것이란 예측과도 맞아떨어진다. 비관론자들은 두 자릿수 수출 증가율의 모순을 지적하며 중국 당국이 5월 들어 핫머니를 집중 단속한 것을 ‘수출 거품 제거’라고 표현해 왔다.

중국 정부가 직접 나서 돈줄을 걸러냈지만 결국 ‘돈맥경화’의 모순에 빠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중국 인민은행이 9일 발표한 5월 사회융자총액은 1조1900억 위안(약 218조7350억원)을 기록하며 전달의 3분의 1 수준으로 급감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0일(현지시간) 중국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협이었던 대출 리스크는 급감한 반면 돈줄이 막혀 정부 지출과 기업 투자가 예전처럼 속도를 내지 못해 성장률이 더 낮아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을 내놨다.

하지만 중국 정부와 싱크탱크는 이런 추세를 ‘정상’ 궤도 진입 신호라고 반론을 편다.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CCIEE)는 최근 보고서에서 새 지도부가 경제를 수출 주도에서 내수형 성장으로 전환해 지난 30년간의 고도성장 기어를 하단으로 내리려는 중이라고 분석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도 이번 방미 기간 중 안정성장을 강조하며 “(중국이) 경제 구조개혁의 중대한 시점에 놓여 있다”며 성장보다는 개혁에 방점을 찍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구성찬 기자 ichthus@kmib.co.kr